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안녕하세요. 집사지니입니다.
강의 끝나고 바로 적는 후기.. 마음가짐이 잔뜩 담긴 후기 입니다.
현실적으로 나의 상황을 직면하고, 강의에서 들은 내용을 삶에 적용하기 위해서!
수도권 관련 내용은 덜어내고 지방에 중점을 두고 적어보겠습니다.
목표: 소액 투자자로 성공하기.
현재 상황: 1년에 모을 수 있는 종잣돈이 2100만원.
현재 가진 종자돈 2천만원.
싼 것 찾아서 주택수 늘려가는 다주택자 포지션으로 가야한다.
지방은 공시지가 2억 이하일 경우 주택 수 에 포함되지 않고, 취득세 중과가 되지 않음.
“가치 대비 싼 걸 사려는 노력”으로 투자금을 줄여 매수하기. ‘지방’에서.
내가 하는 모든 투자는 지방일 수 있다.
내가 10억으로 가는 길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하는 다주택 포지션이다.
연간 만들 수 있는 종잣돈이 4천만원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10년간 일해왔을때, 지금 내가 남겨진게 이 정도의 돈이라면, 미래를 꿈꿀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하다는 것.
잘 알고 있다.
3년 내 3억 만들기? 불가능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남들이 10년 걸린다면, 나는 15년 걸려도 되니까, 꾸준히 가자.
광역시→ 0.5억~ 2억
중소도시→ 0.3억~0.8억(신축위주로)
장점: 비교적 단기간 차익 실현 후 매도 가능
단점: 가격 상승폭 수도권 대비 적음 (1~3억)
+ 소액투자 가능한 곳 + 입주 물량 없는 곳
광역시 부산, 대구는 3년 내 공급 정리됨.
위험한 곳은? 3년 내 공급 많은 곳 → 대전, 구미, 포항, 청주, 아산, 원주 → 하면 안됨 ! 위험함!
투자 전략:
선호하는 아파트들, 전세가 상승하는 지역 + 입주 물량 줄어드는 곳들 ! 기회다 !
+ 보유중 매도시기 체크 !
공급은 3년 단위로 나오니까, 재계약 시기시 공급 체크 후 많은 공급 있다면 그 때 매도 타이밍 !
규모
→ 수도권은 크다. 퍼져 나가는 동그라미가 크다. “10년”
→ 지방은 비교적 작다. 퍼져 나가는 동그라미가 작다. “5-6년”
수요
→ 수도권 수요가 훨씬 많다. 인구수, 입지 차이로 매수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
수요가 많으니, 공급도 많아서, 매매가 높을때 공급 폭탄 생기면→ 공급이 오래 지속된다.
전세가율
→ 수도권은 매매가 상승폭이 커서, 전세 반등해도 상승가는데 시간 오래걸려, 전세가율이 낮은 편
→ 지방은 매매 전세가가 같이 가는 흐름, 하락장에서도 전세가율이 높다. 전세가율 오르면? 매매도 상승!
적정 전세가율 서울 60%, 수도권 70% 지방 80%
전세가율 높으면 가격이 저렴하고, 매수 후 하락 가능성 낮다. 전세가율 낮으면 가격이 비싼거고 매수 후 떨어질 수 있다.
결론
충분히 낮아진 전세가가 반등한다면,
기준에 부합한 전세가율이 온다면,
매수한다.
5순위 시세표 ! + 앞마당 3개 이상
가는 곳 마다 머리속에 박아두고 시작하기.
아파트 금액 | 1순위 | 2순위 | 3순위 | 4순위 | 5순위 |
3억 | 가 아파트 | 나 아파트 | 다 아파트 | 라 아파트 | 마 아파트 |
3.5억 | |||||
4억 |
선별하는 방법은 ?
금액대 별로 가장 좋은 아파트 파악
a | b | c | d | |
지역/ 급지 | ||||
연식 | ||||
세대수 | ||||
강남 접근성 (지방은? 무슨 절대적 기준이 있지?) | ||||
매매가 | ||||
전세가 | ||||
전고점 | ||||
등수 | 1 | 2 | 3 | 4 |
지방 투자처 어디로 하면 좋을까?
지역 선택!!
1. 인구수 50만명 이상(중소도시)
2. 전세가율 지역 평균 70%이상 / 개별단지 80%이상
3. 입주 물량 : 투자 시점 + 향후 2년간 입주 물량 적정한 곳
투자처 선택 !!
4. 절대적 저평가인지? 혹은 상대적 저평가인지?
5. 내 투자금 중 가장 좋은 단지
+ 수도권과 지방 비교평가 하는 방법
- 대장 아파트 + 대장 아파트 붙여보기. (가격 흐름 비슷한 지역 찾기)
- 비슷하다면?
- 현재 가격 같은 아파트 끼리 붙여보기. (전고점은 얼마나 차이났나?)
집사지니's 90일 계획
가장 좋은 해운대구 7월달에 보고,
8월은 (중구, 사상구, 사하구, 북구, 동구, 부산 진구) 중 에서 선택해서 갈 것.
9월은 창원(의창구>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진해구) 중에서 선택해서 갈 것.
- 창원 현재 입주 물량 많지만, 입주 물량 감소 및 전세가 반등하면(전세가율 높아지면) 투자기회 생길 수 있음.
투자 목표 정하기
= 지방
= 지방 앞마당 3개 이상 만들기
앞마당
투자금 + 지방 투자 기준에 맞는곳. (인구수, 전세가율, 입주 물량+ 절대적 저평가 -30%)
시세 확인
지역별 매매, 전세, 전세가율, 투자금 규모 → 부동산 지인으로 월 1회 체크
부산, 대구, 창원 3개 지역 +@
임장
7월 월 4회→ 1박 2일 * 2회
8월 월 6회→ 1박 2일* 2회 매물임장 !
9월 월 6회→ 1박 2일* 3회
독서
월 4권 // 읽었던 책을 다시 훑어보는 한이 있더라도, 4권.
시간 확보.
일주일에 20시간.
임장시간 10시간 제외하고, 평일 10시간, 2시간씩 5일
첫 지방 임장이라 쉽지 않겠지만.
남편이랑 함께 하는 시간이니 내가 더 잘해야지.
내가 더 잘해서, 지치지 말고 여름 임장 잘 해내보자.
지치지 않으려면 아침에 일어나서 목실감 쓰는 것.
그리고 독서 4권 꼭 지키자.
루틴으로 멘탈 관리 하는게 제일 중요하다.
오픈 근무 하는날은 4시 일어나서 목실감 쓰기
그 외 날들은 4시반 기상해서 아침 1시간 확보하기.
아침 목실감 + 독서
점심 경제 뉴스
저녁 투자 강의+ 임보
주말 임장
댓글
집사지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