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8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리더, 독서멘토

전세가를 알면 부동산 투자가 보인다
p.17 서울의 빈집은 대부분 재개발 지역에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 수많은 집들이 빈집이였던거에 조금 놀라웠다 서울이라 다 꽉 차 있을거란 생각만했었는데 선입견이였습니다.
p.27 실수요자는 금리보다 시장의 분위기에 더 좌우됩니다.
→폭등후 금리가 상승해서 하락한줄 알았는데 분위기가 더 큰 비중을 두었다는 사실이 더 하락요인인것을 알게 되었다
P.37 뉴스에서는 이를 거의 구분하지 않고 단순 미분양이라는 숫자적 통게치만을 다루기에 뉴스를 볼 때는 항상 그 행간의 의미를 잘 파악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뉴스는 더 이상 믿지못할 언론인것 같다. 뉴스와 반대로 생각하며 의미를 잘 파악해야한다.
P.44 임대인은 곧 투기꾼이고 전세가와 매매가를 억지로 올리는 전세난과 주거난의 주범이라고 생각하고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 자본주의를 이해하지 못하고 불평불만을 하는 사람들인 것 같다. 다주택을 규제하니 시장에 공급량이 어떻게 됬는가? 아파트를 많이공급하면 비싸기 때문에 그것도 못받아들이면 다주택이라도 풀어야 할것 같습니다.
p.70 월세 공급이 전세가에 영향을 준다면 전세가가 그렇게 급등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월세는 전세에 영향을 주는것이 아닌, 전세에 종속적인 관계로 전세가가 올라감에 따라 월세는 공급이 아무리 많아도 자연스럽게 월세가 올라가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이번에만 봐도 빌라나 오피스텔월세가 많이 오른편이지 아파트월세로 전세가가 올라가지는 않은것 같다.
p.88 저는 전세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통보다 학군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군지에 전세가가 하락했을때 하락폭이 적은편으로보아 전세가에 크게 영향을 주기보다 받쳐주는것 같다.
p.111 내가사는 지역에 입주 물량이 많아야 합니다. 그리고 몇년 동안 비슷한 규모의 입주 물량이 연달아 있어야합니다.
→그럴때 역전세가 나니깐 투자할때 유의하며 지켜봐야한다.
p.140 매매가 바로 밑의 전세가이기 때문에 전세가때문에 매매가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파트 투자에 장점인것 같다 빌라나 오피스텔은 깡통전세가 많이 존재하지만 아파트는 거의 드물다.
p.149 가격이 쌀때는 항상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가보면 매물이 넘쳐납니다~일반 사람들은 부동산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이 없고 주변 가격이나 언론에서 내보내는 뉴스를 통해서 분위기를 느끼게 됩니다.~바로 폭등기에 나타나는 묻지마 투자자입니다. ~아파트가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분들은 점진적으로 상승이 이루어질때는 투자를 못합니다.
→차가울때 매수하고 뜨거울때 매도해야한다. 머리로는 알고있지만 행동은 잘되지 않는것이 아이러니하다ㅎㅎ 나는 차가울때 샀으니 꼭 불장에서 매도한다.
P.163 대출을 줄이면 투자금이 늘어나게 되어 자금 부담을 가져오고 투자자는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 그리고 금리를 올리게 되면 이자 부담이 늘어나게 되어 대출을 이용하는것을 줄이거나 꺼리게 되고 결국에는 투자금이 늘게되어 수요가 줄어드는 효과를 볼수가 있습니다.
→25.06월 현재 상황은 대출은 줄어들지만 금리는 인하하는 시기이다. 이럴때는 어떻게 흘러갈지 지켜보면서 데이터를 쌓자
P.187 하락을 어느정도 멈추고 매매가는 진정이 되고 전세가는 서서히 상승하는 시기입니다. 적극적인 투자자들 같은 경우 이 시기에 주택을 조심스럽게 투자를 진행합니다.
→부산이 지금시기에 슬슬 들어오는것같아 투자하기 좋은시장같다.
P.189 어떤 분들은 집값이 더 내려가야 맞다고 주장하는데 그것은 이상에 가깝습니다. 현실적으로 이미 대출이 많이 들어가 있는 집들이 대부분인데 폭락을 한 후에 더 이상의 폭락이 이루어지면 우리나라 전체 경제가 위험한 상황에 이를수도 있습니다. ~경제 전반이 침체를 넘어서 위기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래서 공부를 해야하고 책을 읽어야하는것 같다. 주변에도 흔히 볼수있는 이야기이지만 아무리 말해도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P.209 많은 분들이 집을 사시면 그 집에서 10년,20년 살고 싶어 합십니다. 조금이라도 내 자산을 늘리고 싶은 분들이라면 명심하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집에는 사이클이 있습니다.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합니다. 그 집에서 20년을 살고 있다면 어쩌면 내가 집을 산 가격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떨어져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갈아탈수있을때 타야하며 규모가 크면서 입지가 좋지 않은 이상 갈아타기를 해야 인플레이션으로부터 내자산을 지킬수가 있다.
P.222 제일 좋고, 제일 많이 올랐으면 좋겠고, 하자도 없었으면 좋겠고, 구조도 좋았으면 좋겠고, 향도 좋았으면 좋겠다는 것을 말입니다. 그런데 100%마음에 드는 집은 하나도 없습니다.
→돈이 없기때문에 1등을 고집하지 않고 약점을 가진 집을 투자하라는 유디님이 잘 알려주신것 같습니다.
P.239 건설사는 인기가 좋은 소형에서 마진을 많이보고, 대형에서는 손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대형을 많이 짓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 사이클에는 반드시 대형의 시대가 온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자모님이 구해줘월부에서도 다뤄주셔서 이해가 됬습니다. 소형,대형도 사이클이며 사람들은 넓은데 살고 싶은니즈는 항상있다고 하셨습니다. 59,84위주로 투자를 진행하며 사이클에 맞게 투자하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243 정부의 시각은 서울수도권에 맞쳐져 있습니다. 지방의 아파트 가격이 올라갈 때, 정부는 특별한 규제정책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지방에 더욱투자를 해야하나? 헷갈리는 멘트였습니다. 얼른 투자코칭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P.278 경매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가격에 있습니다.
→월부에 오기전 경매강의를 수강했지만 아파트에 낙찰률이 낮아 아파트 투자가 더 좋을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는데 하락기에는 정말 경매를 잘이용하면 더 큰 수익을 올릴것 같습니다.
P.284 지역주택조합아파트는 수많은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합니다.
→아는 동생이 지주택을 하면서 경험을 많이 한것 같습니다. 다행히 잘 해결되어 다행이지만 저는 월부 덕분에 절대 안할것 같습니다.
P.296 빌라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는 주택입니다.
→빌라건물주정도 투자는 좋을것 같습니다. 혹은 재개발가능성으로 투자할수는 있지만 환금성과 관리부분에서 어려움이 클것 같습니다.
p.302 재개발 재건축 투자를 진행할 때는 반드시 사업추진이 가능성이 아주 클때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수있습니다.
→상승기가 오기전 관처이후가 가장 좋은 타이밍인것 같습니다.
✅ 나에게 적용할 점
1. 폭등장에 투기꾼이 되지말것
2. 전세가를 이해하며 투자할것
3. 규제나 금리가 터진시점을 이해하고 현재시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지켜볼것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