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생입니다.
7월 전국 랜드마크 및 생활권대장
지방 시세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기준은
하락률 -20%이상 = 저평가
하락률 -20%이하 = 고평가
아실 최고가에서 순위별로 나눠 놓은 단지이니
참고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 부산광역시
부산은 선호하는 랜드마크 단지나 선호 신축 외에는
거의 다 저평가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상급지까지 기다려주고 있으나
각 생활권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단지들은
하락률 -20%가 깨지기 직전이라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02. 대구광역시
대구도 역시 부산과 비슷하게
대장단지부터 흐름이 가지만
전체적보다는 수성구,중구의 신축 위주의
오름이 빠르다는 체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마도 중구의 신축물량 때문에
달서구에서 매물을 내놓고 중심쪽으로
이전하려는 수요가 많아서
아래쪽 급지는 아직까진 저렴하다고 생각됩니다.
03. 대전광역시
대전은 물량이 많은대도 불구하고
대장단지나 랜드마크 단지는
계속 고평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구축이여도 생활권에서
선호도가 있는 단지들은 고평가를 유지하고 있고
그외의 단지들은 저평가이지만
도안신도시 확장으로 인한 입주물량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아직은 지켜봐야할거 같습니다.
04. 울산광역시
울산은 입주물량이 적음과 동시에
남구,중구,북구의 신축,준신축은
거의 고평가 구간에 있습니다.
아직 동구에서 기다려주고 있지만
여기도 조만간일거 같습니다.
05. 광주광역시
광주도 현재 물량으로 인해서
연식좋은 단지는 아직 고평가 구간이고
그 외의 단지들은 저평가 구간으로
기다려 주고 있습니다
05. 경상남도
경남은 대장단지+재개발로 지어진 신축으로
고평가 구간이 이뤄지면서 많이 올랐고
마산쪽에서도 외곽의 준신축은
저평가구간으로 있습니다.
06. 충청남도
충남의 천안도 신불당 대장단지와
각 생활권의 랜드마크들로는 고평가 구간이며,
나머지 단지들은 아직 저평가로 머물러 있습니다.
07. 충청북도
충북의 청주는 확실하게 2020년도 안팎의 신축들만 오르고
그외의 오르는 단지들은 생활권에서 선호도가 있어서
고평가 구간에 있습니다.
07. 전라북도
전북의 전주는 이미 입주물량이 예전부터 적어서
상승추세에 있으며 매매,전세가에 대해
정체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07. 경상북도
경북은 각 생활권의 대장단지들은 고평가 구간이며,
포항 남구의 대장은 이미 연식이 진행된단지라서
아직 저평가 구간에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설명을 하면서 입주물량에 대한 설명을 드렸는데
향후 입주물량에 대해 궁금하신분은
하단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리며 모두 다 투자하시는날까지 파이팅입니다!
댓글
전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