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70기 42조 여행전날] 2강 오프강의 후기 -

  • 25.07.08

 

안녕하세요.

여행전날설레임을 간직한 행복한 투자자가 되고 싶은 여행전날입니다.

 

운이 좋게 오프강의를 들을 기회를 얻어서 

오늘 월차를 내고 다녀왔습니다. 

회사 앞이라 조심스러웠지만 ^^

먼저 오늘 진심어린 조언들과 열정으로 강의를 해주신 유디님에게 감사드리고

저는 질의응답시간을 함께 하지 못했지만 강의내내 챙겨주시고

중간에 간식도 챙겨주신 루나님 감사합니다.

 

오늘 오프강의 저의 목표는

임장임보 과정 중에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1. 모르는 것

2.알지만 행하지 않은 것

1가지씩을 찾아서 어떻게 개선할지까지 정리하는 것입니다.

 

1. 모르는 것

임장하면서 좋다 vs 싫다 프레임이 아닌

더 좋아 vs 덜 좋다 프레임으로 파악하기

싫다라는 프레임을 가지면 투자하기가 쉽지 않다

내가 투자하기까지 오래걸렸던 이유이지 않을까?

1등 선호생활권이 아닌 생활권의 애매한 구축

‘이것보다 좋은게 있지 않을까?’ → ‘힘들게 모은 투자금을 이 물건에 투자하기 싫은데 ’

 

투자를 하기까지 '싫다' → ‘덜 좋은’ 과정이 필요했었습니다.

또 한가지는

투자결정할때 입지 + 단지선호도로 판단하는데

입지로만 투자결정을 하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해 주시면서 

재수강생분들은 한번 돌아보라고 이야기 해주신 점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결국 투자경쟁력이 아닌 단순한 급지가 허들이 되지 않았었나?

임장지 급지 vs 단지 투자경쟁력

단지의 투자경쟁력은 역세권인가?초품아?마트/병원이 가깝나?균질성은?

단지임장과 단지분석을 통해 지역내 선호도를 파악하기 해놓고

정작 이 부분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저는 투자결론을 낼때 포맷을 강의 때 강사님들의 포맷을 BM하고 있는데

이 장표를 다시 보니 결론을 내는 과정의 투자 process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었습니다. 

입지를 통해 선호도파악, 투자금과 인테리어,RR 

입지가 더 좋고 나의 투자금에 맞는 물건을 pick하는 과정

정제된 과정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고

강사님들의 투자 process를

지금처럼 잘 적용해보고

이후 나만의 투자 process로 발전시켜보려고 합니다. 

 

2.알지만 행하지 않은 것

TOP3 인구이동 지역의 공급을 조사

Why(왜 이장표를 넣은건지?)

주변 지역 공급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What(이 장표로 얻게 되는 것?)

현재임장지 투자 시 주변지역공급으로 인한 리스크 파악

How(이걸 어떻게 투자에 연결할 것인지?)

TOP3 인구이동 지역의 분석을 통해 향후 임장지의 역전세여부 확인

가능 한데 왜 안하고 있었니?? 응??

지역분석보고서(데이터) 아니고

나만의 투자보고서(투자인사이트) 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스스로 설명하고 답을 내보는 것 만큼 

정리를 잘하는 방법은 없다

좀 늦었지만 이번주부터 분임을 하는데

강의에서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주 분임때 놓치는 점 없도록 하겠습니다.

 

적용할 점들

1.TOP3인구이동 과거추이 및 이유를 파악해서 향후 임장지의 역전세여부 확인

2. 임장지내 관심단지를 '지금' 투자했을 시, 내 투자에 영향을 줄만한 입주예정단지를 찾아보자

 


댓글


자긍
25. 07. 08. 23:54

더좋다. 덜좋다. 비교 표현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