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투기 부먹입니다
오늘도 엄청난 인사이트 주신
권유디튜터님의 1강 후기 입니다 :))
워이 워이~
강의 구성은 지방 시황을 한 번 훑어 주시고
지역분석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지방의 대표격인 부산을 얘기 해주셨지만
부산에 한정되지 않고
그냥 단지 ‘재료’라고 말씀 해주셨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김밥을 먹기 위해선 각각의 재료가 필요하구요
그 재료를 적당량 덜어서 말아주면 됩니다
튜터님께서는 이와 같은프로세스를
저희에게 전해주시려고 하신 것 같더라구요
(맞나요, 튜터님 ㅎㅎ)
지역분석 강의가 아닌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투자 할 수 있는
홀로 설 수 있는 ‘독립된 투자자’의 첫 걸음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현재 지방 시장은 한마디로 ‘기회’ 입니다
뉴스만 보더라도 ‘지방 시장은 이제 끝났다’
'이제는 똘똘한 한채다' 등 다소 자극적인 뉴스기사가
끝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는 쌀때 사고 비쌀때 팔면 된다’
현재 지방시장이 그렇다고 생각이 들었어서
이번 기회에 꼭 2호기를 해야겠다는 다짐도 할 수 있었습니다
지투기 여러분!!
우리 모두 꼭 투자 합시다!!
TMI
저는 작년 이맘때 쯤 1호기 투자를 했었는데요
날씨가 너무 덥거나 추우면 RR을 좋은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RR:로얄동, 로얄층)
※튜터님께서도 이부분을 흘리듯 말씀해주셨습니다※
현재 지방은 완화 정책을 하고 있습니다
[공시지가 2억 미만의 주택에 대해서 취득세 완화를 하고 있음]
이는 현재 지방 투자를 하라고 하는 시기이고
우리는 그에 맞춰서 투자를 진행하면 됩니다
(이미 울산과 전주는 상승장)
왜 이렇게 까지 투자를 하라고 할까요?
튜터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해주셨습니다
반드시 투자 해야겠다!!
꼭 투자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튜터님!
투자는 범위를 좁혀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고 이 것을 반복하는 것
즉 가장 중요한 건 수요 입니다
(수요가 있는 지역, 단지에 투자하는 것)
일 예로
부산 사람이 광주에 청약 넣을까?
수도권은 한 권역이지만, 지방은 인구수가 그 지역 수요입니다
이미 터를 잡았기 때문에 이동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부산, 대구는 오히려 구축이 더 선호할 수 있다
땅의 가치가 있으니까
그러나 그 외는 신축이 더 낫겠다
부동산은 논리적으로 접근하면 어려운데요
공감을 하는 자세가 정말 중요하더라구요
(그럴 수 있겠구나~)
저 단지는 왜 비쌀까?
이 단지는 왜 쌀까?
다 이유가 있기 떄문에 단지를 하나씩
쪼개 봐야하고, 가장 중요한 건
퉁쳐서 보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절대적인 기준은 인구수 입니다
인구수가 적으면 공급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지방은 빈 땅이 많이 때문에 신축아파트를 짓는 것이 수월하고
만약, 내가 투자한 지역이 2년 후 공급이 많다면
추후 매도 계획까지도 새워야 합니다
🚨리스크🚨
마지막으로 지방임장방법인데요
시야를 확보해야 합니다
내가 보는게 데이터상으로 보이는 통계보다
맞을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단지임장을 하는 이유는
그 단지 주변도 중요하지만
컨디션과 조경등 더 중요한 안을 봐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언제부턴가 밖에서 보고
아 여긴 언덕이니까, 여긴 나홀로니까
하고 넘어갔었는데요
튜터님께서는 이런 약점(?)이 있는 요소가
충분히 투자 대상이 될 수 있고
튜터님의 투자를 복기해보니
이런 부분에서 많이 기회를 놓쳤다고 하셨습니다
지방은
스토리를 이해하고, 인정하자
싼거 비싼거 중요한게 아니라, 가치있는 것 하는게 중요하니까
이상으로 1강 후기 작성을 마치겠습니다
열강해주신 권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지투기 39기 3조 화이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