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인증

[와이케이91] 실투경_분양받은 집이 있는 매도자와의 협상 7/10

  • 25.07.10

- 아파트를 분양받은 경우 계약금+중도금+잔금으로 이루어짐

- 중도금대출은 추후 주담대를 일으키는 경우 대환됨 (잔금과 동시 진행)

- 중도금 유이자 후불제일 경우 입주 시점에 한꺼번에 납부하는 조건

(분양가 6억에 70% 중도금 대출이 가능할 경우 약 4.2억의 중도금 대출을 일으켰고 적용 이자율 연 4.5%, 기간을 2년으로 잡는 다면 총 이자는 약 1900만원 정도)

 

- 입주 지연 시 입주일 시작일부터 중도금에 대한 이자 발생 (잔금을 안치르면 전입신고/등기를 못해서, 이자만 발생)

- 입주 지정기간 내에 잔금을 납부하지 않고 입주하지 않으면 지연이자(지체상금)가 부과됨. 일반적으로 10~15% 수준이며 분양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음 (지연이자가 발생하면 개인 신용도에 영향을 주게 됨)

- 중도금 대출 만기 일자 이후부터 지연이자 발생 (중도금 이자+지연 이자)

- 지연이자 = 미납 잔금 × 연 이자율 × (지연일수 / 365)

 

[예시]

미납 잔금: 1억 2천만 원

지연이자율: 연 10% (예시)

지연기간: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 46일

지연이자 = 1억2천 × 10% × (46 / 365)

         ≈ 1억2천 × 0.10 × 0.126

         ≈ 약 151만 2천 원

 

- 매도자가 기존 집 매도가 안되 입주를 하지 못하는 경우 중도금 대출에 대한 이자와 지연이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최악의 경우 분양 취소가 될 수도 있음

 

- 매수 단계에서 협상하기 전 해당 단지의 중도금 대출 이율/ 지연이자 이율/ 입주 연장 최대 기한을 확인해보고 편익과 비용을 따져 매도자와의 협상을 진행하기. 

 

*편익: 입주 지연에 따른 심리적 압박이 있을 수 있으며, 지연 이자 발생시 신용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하면서 최대한 매도자의 마음을 헤리이면서 접근해보기-가격조정

 

*비용: 중도금을 더 드리기 (중도금+저축액으로 먼저 입주할 수 있는 경우), 전세입자 대기가 있다면 최대한 조정해보기, 잔금을 치는 경우 (중도상환 수수료 계산해보고 더 편익이 많은 쪽으로 선택하기)



 


댓글


그리는 대로user-level-chip
25. 07. 10. 14:22

와케님 ~~~ 진짜 꾸준하다 !!!!

부파이어user-level-chip
25. 07. 10. 19:39

크.. 능동적인 투zaza YK ,,, 오늘도 하나 배웁니다요. 오늘의 실투경은 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