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한달 저축액이 160만원 정도고, 종자돈은 1억 7천이 있는 상태이며, 회사에서 DSR에 잡히지 않는 대출 3000만원(10년 상환, 중도상환금 없음)을 집을 구입할 때 받을 수 있다고 하여 받아서 총 2억원을 투자금으로 보고 이번달에 내집마련 기초반을 듣게 되었습니다.
너나위님 첫주차 강의를 듣고 첫번째 징검다리로 생각한 집의 금액을 4.2억 정도로 정해서 10평대 서울 하급지나 10평대 구리시, 평촌 등의 10개의 단지를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마련가능 금액 2억+ 전세금 2.2억= 4.2억)
최악의 경우 혹시 전세를 맞추지 못하고 돌려주어야했을 때 제가 감당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생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2년 저축액 0.4억+신용대출 0.5+추가 회사대출 0.4+ 전세보증반환대출 1억= 전세금 2.3억)
그런데 2주차 코크드림님의 강의에서 종잣돈이 적은 사람(5000만원/저축 150만)이 종자돈 0.4억 + 전세금 4.2억으로 4.6억의 집을 볼 수 있다고 예시를 들어주셔서 저도 4.6억대 정도까지 볼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더 넓게 봐도 될지 아니면 원래 생각했던 대로 조금 더 안전하게 4.2억 내에서 보는게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
또 내마기의 코크드림님 강의에서 전세를 끼고 투자하는 경우 투자 공부를 따로 해야한다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서요. 다음 달 수강을 이어서 내집마련 중급반으로 하려고 했었는데(내마중에서 전세 끼고 매수를 하는 부분에 대해서 같이 배울 수 있다고 하셔서) 서울투자 기초반도 투자에 대해 배울 수 있다고 해서 이 강의는 어떨까라는 고민도 생겨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온라인 투자강의는 열중반만 수강했고, 실준반을 수강하지 못했습니다.)
시간 내어 고민을 읽어주셔서, 그리고 월부 안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냥냥쓰님 안녕하세요~ 감당가능범위 = 종자돈 + 주담대 + 신용대출 + 회사대출 등 얼마까지 융통이 가능한지 파악해보시고 그에 맞는 금액대를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지금은 전세입자가 이미 살고있는 집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매매가 - 전세가 정도의 금액만 있어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코크님이 강의에서 말씀하신 부분일 것 같아요. 내집마련 중급반도 좋고 서울투자 기초반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서울투자기초반은 매주 서울로 임장을 나가면서 현장을 다녀보는 강의입니다. 원하는 임장지역을 선택하고 조원분들과 같이 다니며 지역을 돌아볼 수 있어 아는 지역을 하나씩 늘려갈 수 있습니다. 서울 전체적인 지역에 대한 분석도 강의를 해주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