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afe.naver.com/wecando7/7934794
[제주바다] 투자금보다 반드시 이걸 먼저 봐야 합니다.
@난이도
- 2억짜리 집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이 5억짜리 집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보다 훨씬 많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낮다!
- 실거주 가치가 있는 집이면서 가격대가 낮아 진입장벽이 낮다면 그만큼 실거주와 투자수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초보투자자에게 채당 1억의 수익을 내면서 비교적 낮은 난이도의 투자 경험을 줄 수 있다!
- 더 많이 벌고 싶다고 가격대가 높은 것, 입지가 제일 좋은 것만 자꾸 쳐다보면 투자하기 어렵고, 같은 돈을 벌면서 훨씬 큰 리스크를 지게 된다!
- 좋은 것, 나쁜 것의 프레임으로 투자를 바라보지 말고, 저평가 되어 있는지… 초보투자자인 내가 접근하기에 적당한 금액대인지 같이 고민하세요!
@리스크
- “잔금 가능한가요?” “전세가격이 10% 내리면 감당 가능한가요?”
- 투자에서 제로리스크는 없다!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부동산 거래 특성상 항상 뭔가 생각하지 못한 일이 생기기 마련이다. 따라서 반드시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면서 경우의 수를 ‘대비’하면서 들어가야 하는게 투자이다!
- 초보 투자자라면 매매가격이 너무 높은 물건을 투자해서 변동되는 금액대를 키우기 보다 부담이 적은 금액의 투자로 마음편한 투자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금
- 종부세 공제한도가 9억인 싱글투자자가 투자를 하는데… 2채를 매수하면서 종부세 한도인 공시가 9억을 다 채웠는데, 채당 1억이 안되는 수익이 날 물건들이었다면 많이 아쉬울 수 있다.
- 채당 1억 수익이 날 수 있는 물건이라면, 공시가격 2억짜리 2채를 매수했어도 충분하다! 4억을 채우고 나머지 5억 한도를 남겨둘 수 있으니 추가로 투자해도 종부세 걱정이 없다!
- 취득, 양도, 보유에 따른 세금을 고려해서 무리되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매매 금액대를 고민하세요!
@주택수를 늘려서 시스템을 만드는 투자자에게 자신에게 적합한 매매 가격의 한도 금액대를 설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대출가능 금액, 세금, 본인 투자 실력등을 고려해서 스스로 투자 물건의 금액대를 결정해두세요!
@각자의 상황에 맞게 담아야만 어려운 시기를 버티고 기다려서 수익이라는 열매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내 그릇에 담기에는 넘칠 수 있는 물건이라면 담지 마세요. 그게 아니라도 돈 벌 수 있는 물건은 계속 있습니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