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나는 의지력이 없다.
작년 8월 재테크 기초반을 시작으로 열기를 들으며 부동산 공부를 시작했는데, 지금 벌써 7월인데 1년동안 임장보고서 1개도 제대로 써본적 없는듯.
남들 따라 분임 가고 단임가고 해봤지만, 입지분석, 시세분석, 단지분석, 결론 어느것 하나도 제대로 마무리 해본적 없는듯. 매임도 무서워서 못해봄!!!
지난 1년을 돌이켜보면 지도를 보고, 행정구역을 나누고, 분임루트를 그리고, 단임 루트를 그리고, 생활권을 분석하고, 입지를 분석하는데 익숙해진듯.
1년동안 아주 느릿느릿하게 이 시스템을 체화시켰으니, 이제는 좀 제대로 하쟈….. 월루 해야지!!!
익숙해지자
책상에 앉는다. 컴퓨터를 켠다. 임장보고서 1장만 쓴다.
인구
호갱노노 전입전출 보되, 전입전출(X) 퍼센테이지 위주로 인구이동 탑3를 알아두고 넘어간다.
ex) 대구 중구 인구이동 TOP4
인접해있는 구끼리 영향을 받는중
주변 구에 신축이 들어섰을때, 중구 사람들이 바깥으로 빠질수도 있겠다.
==> 중구와 가까운 북구 칠성동, 대현동(?), 동구 신암 신천, 달서두 두류동, 수성구 (비싸서 모르겠네)로 빠질수도 있겠다!!
직장
대구 (경산 포함)는 500인이상 직장이 좌우로 분산되어있어 사실 직장 구분이 무의미한거같기도 하고….
어쩌란 말인가???
확실히 서쪽 달성군/달서구에 작장이 많긴 한데, 동쪽은 또 동구, 경산시에도 많아서
중구사는 사람들은 양쪽 어디쪽으로든 회사를 다닐것 같음 …..
교통
지방의 경우, 수도권보다 교통 중요성이 낮으나, 평가를 하긴 해야하니까.
단지 분석시, 그 지역의 랜드마크와 여러개의 업무지구가 있다면 그 단지와 가장 가까운 업무지구 사이의 거리로 측정.
10분이내 S
20분이내 A
30분이내 B
그외 CCCCCCCCCCC
대구의 업무지구가 대체 어디야!!!
학군
특목고 위치는 시험을 보고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부동산과 관련이 없다고 본다.
중학교의 특목고 진학률은 의미 有
ex) 3% 이상이면 높다고 평가.
환경
스타벅스 ) 이미 안정된 상권 의미
스타벅스 DT점 ) 휑하다
스타벅스 리저브) 좋은곳
택지) 빌라과 섞이지 않은 곳
백화점) 현대/신세계/롯데/갤러리아
대형마트) 그외 지역백화점, 아울렛
공급
주변 지역 전출입 TOP3 공급이 인구의 1% 초과 (측 인구 적정 수요가 0.5%인데, 그것의 두배) 라면, 임장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입지등급을 C로 준다. 그래서 주변 전출입 top3를 알아두라는 것.
중구(C)는 공급이 인구대비 많은편. 전출입영향이 있는 TOP4 북구 (A), 달서구(B), 동구(B), 수성구(A)는 양호한 편.
하지만, 대구 자체가 이전에 공급이 많아 미분양이 났던 지역이었어서 여전히 물량을 해소 중이고,
2027년 대구 공급이 천세대 밖에 안되지만 등급은 B, 즉 1.17배로 여전히 많고, 구별로 따져봐도 S (공급율 0.5배 이내)는 없는 걸 알 수 있음.
분임
동선을 입체적을 구성한다
===> 중간중간 꺽이는 포인트를 만들어서 2-3분 정도 제자리에 서서 지나온 길을 복귀하며 생활권을 정리한다.
그 지역의 지리에 익숙해지고
생활권이 구분되고
입지 우선수위가 매겨지면 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