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권유디 선생님의 강의는 정말 저와 같은 과정을 직접 겪으신 선배님의 꿀팁이 넘치는 강의였습니다.
특히, 수능 수험생활과 자유여행 경험 많으면 찰떡 이해되도록 설명을 쉽게 해주셔서 좋았어요.
전 다수강생이라, 임보와 투자에 대해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던 부분들
또는 성장하기 위해 새롭게 반영하고 싶은 점들 위주로 집중해서 들어보았습니다.
📚이번 주차 과제에 반영하고 싶은 점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시세를 들어가보자.
시세지도 그린 후, 저평가 여부, 가격형성 특징, 가격대 밴드, 투자생각까지 정리
🔥하자! 시세트래킹🔥
- 앞마당마다 생활권별로 2개 단지씩 시세트래킹
- 그중, 투자 기준에 들어올 것 같은 생활권은 전수조사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아마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싶다.
그동안 앞마당별로 시세트래킹할 단지를 매우 심도있게 추려내야 한다는 압박이 컸고
또, 단지별로 입지가치까지 매겨서 보기좋게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에 압박이 2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투자기준에 들어올 것 같은 단지가 생긴다면 ‘해당 지역’을 전수조사 해야 한다는 생각에
얼어붙어 버려서 힘들게 만들어 온 앞마당들을 정말 말그대로 방치해두고 있었는데….
권유디 선생님 강의를 들으니 ‘이 정도면 나도 해볼 수 있겠는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활권별로 2개씩만 추려봐야겠단 생각을 왜 못했을까?
투자기준에 들어오는 단지가 있는 ‘생활권’을 전수조사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왜 못했을까?
이런 생각을 못하니 선생님의 지혜를 레버리지하는 거겠지만 스스로 생각해내지 못한 게 아쉽다.
그런 한편 이제라도 강의에서 배우게 되어 감사하다..
📝다음 임보에 반영하고 싶은 점
- 개발호재 페이지 추가
- 지적도를 통해 이 지역의 '특성'에 대해 파악
- 상업시설에 해당하는 것들 말고도 관공서와 같은 특징적인 시설 확인
- 동별로 인구구성에 따라 어떤 입지요소가 더 중요할지 생각
- 소득수준(소득구간 비율 확인) 추가
- 환경에서 ‘택지’ 확인
- 환경에 상권별 1줄 분석설명 추가(선호상권/비선호 상권)
- 입지분석한 내용에 대해 최종 한 페이지로 정리
=> 기존에 밥잘 선생님께서도 강조하셨던 내용도 많은데 행동에 옮기지 않는 게 많음을 느꼈다.
🎯투자 원칙
🤔투자로 연결되는 임보 결론이 안되는 이유
명확한 기준(교직학환)을 바탕으로 판단해야 하는데 그게 흔들려서 그렇다.
=> 정말이다! 한 지역 내 단지들끼리 헷갈리는 이유는, 기준이 명확치 않아서 그런 것 같다.
10%의 사소한 기준에 흔들리지 말고 뚝심있게 입지가치를 믿자.
😠입지가치를 기준으로 판단 후, 비교평가 후 투자여부를 따져야
단지가치에 대해 ‘좋다, 싫다’가 아니라 ‘좋다, 덜 좋다’로 판단하자.
=> 이것 역시 정말이다! ‘좋아, 나빠'로 판단하니, ‘나빠’라고 생각했던 단지를 선입견이 콱 박혀버린다.
도저히 투자할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투자는 돈 벌기 위한 것이지, 자랑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투자자로서의 자세
잘 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계속 꾸준히 하라.
편한 길 선택하지 말고 어렵지만 투자에 도움이 되는 길을 선택하기를..!
환경을 만들자. "자동화"를 만들자. 3년동안 투자기술을 익히는 데 몰입하자!
고통 없는 성장은 없다.
싫어하는 일이 있더라도 목표를 생각하면 감당할 만한 일이 될 수 있다.
투자를 잘하면, 노후 걱정 없는 삶과 주도적인 삶을 누릴 수 있다…!🧡
댓글
라면대마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