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잔쟈니님이 남잔지 여잔지도 몰랐는데 지투기반을 통해 처음 강의를 접하게 되었고,
들으면서 이분 정말 디테일하고 정확하게 설명해주신다고 느껴져서 중간중간 안하던 메모까지 해가면서 수강하게 됨
사실 2강이 창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강의였는데 내가 한번도 가보지 않은 지역이고 동네 이름도 다 낯설어서
처음엔 귀에 잘 들어오지 않았고 지루해지려고 했는데…ㅎㅎ
계속 듣다보니 성산,반송… 가보지 않은 지역도 조금씩 들리고..
거기에 트000단지를 10번이상 들으니 내적 친밀감 생긴 느낌이라 집중하면서 들을 수 있었음
그리고 인상깊었던 점은
강의 중에 임보 작성-지역분석,시세지도 / 랜선 임장하며 챙겨봐야하는 것 등을 보면서
내가 지금까지 임보도 생각없이 만들고 그려왔던게 아닐까, 진짜 비싼 취미생활하고 있었나라는 생각이 들 만큼
임장/임보 시에 생각하고 비교 체크해봐야하는 부분은 임장/임보 작성 시 꼭 적용해야겠다는 부분이 많았음
<나에게 적용해볼 점>
임보 작성 시 다음 사항 꼭 참고해서 판단해보기
- 공급 없어도 미분양이 소진되지 않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있음
6. 지방 교통입지 판단 기준: 주로 지역 내 대표 직장과의 접근성으로 판단
- 창원은 국가산단/천안은 삼성전자/청주는 sk하이닉스 등
7. 지역 대표하는 주요직장이 애매한 곳은 번화가와의 접근성으로 판단
- 대구의 경우는 동성로 접근성을 교통분석의 기준으로 보아야함
8. 지방은 생활권 순위를 넘어서는 개별단지의 선호도가 있으니 잘 파악해야함(브랜드신축/조경/커뮤니티)
9. 시세지도 그리고 나서 생활권 선호순위(대장단지)와 매칭해보기
댓글
유바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