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더 행복하자입니다.
이번 강의로 창원이 앞마당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창원의 분위기를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공급장이 끝나기 전 선호하는 곳은 반등한다.
지금 창원은 수요가 많고, 가격이 싸고 공급이 줄어드는 곳이다.
연령별 인구를 보면 수치만 적고, 그 의미를 잘 파악하지 못했는데…
의미가 궁금하다면? 인근 거점 도시와 비교해 보기!!!
1인당 평균 월소득 50만 이상 지방도시 나래비를 세우면? 부산이 창원보다 밑에 있다.
→ 어? 창원이 더 좋은 곳인가?란 결론이 나면 안된다. 창원은 100만도시, 부산은 330만 도시.
창원이 고소득 10%면 10만명..부산이 고소득 5%면 16.5만명..부산이 고소득자가 더 많이 살고 있다. 단지 인구가 많아서 편차가 커서 평균의 함정에 빠지면 안된다.
학군이 가격에 미치는 범위가 제한적이지만, 1개의 학교는 굉장히 뾰족한 선호도를 갖게 된다.
학원가의 양과 질 / 부자커뮤니티 2개를 같이 봐야 한다.
학군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일부 생활권, 단지에 국한되며 20년 이상의 연식 차이를 뒤집을 정도는 아니다.
연식 > 학군
지방은 인구가 적어서 대부분 상권에 유흥, 학원, 먹거리 다 모여있다.
창원 투자전략 핵심키워드 3가지
연식 - 중심 접근성 - 학군
입지 좋은 구축 < 입지 덜 좋은 신축
수도권은 위치와 생활권이 좋으면 낡아도 선택한다 순차적으로 다 함께 가격이 오른다.
지방은 위치와 생활권이 좋아도 낡으면 대체된다. 선호도가 빠지면 가격이 많이 못 오른다.
분위기 임장 후 생활권 특징 파악 때..
투자전략 핵심 키워드도 같이 넣어 보기!! 이건 BM해보자!!!
생활권 순위를 넘어서는 개별 단지의 선호도가 있다. 단지 vs 단지로 봐야한다. 간혹 특출난 상품성으로 약점을 보완하는 단지가 있다.
수도권은 단지임장 때..땅의 가치, 수요, 위치 파악이 중요
지방은 단지임장 때 쾌적하고, 살고 싶은 곳인지 실수요자가 선택하는 선호도가 훨씬 중요.
10년 내 신축이 아니라면 연식보단 밀집도와 학군이 중요하다.
10년 내 신축이라면 다른 가격결정요소를 뛰어넘을 수도 있다.
집 한채가 여러분의 인생을 바꿔주지 않는다.
물건을 고르고 투자하는 과정에서 언제 어디서든 투자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그 실력이 여러분의 인생을 바꾼다.
결과가 아닌 과정을 비교하는 마음 갖기!!!
난 열심히 하지 않으면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을 보며 난 왜 이렇게 못할까..하지 말기..
과정이 다르다. 난 그렇게 열심히 하고 있지 않으니까 결과가 다른 것이다.
댓글
더 행복하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