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은퇴 후에도 매달 500만원을 쓸 수 있는 방법

  • 5시간 전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안)한가해보이입니다.

 

최근 결혼한 사촌동생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전 기사에서 봤던 아래의 내용이 떠올랐어요.





현재 30~59세의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를 월 556만원으로 꼽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은퇴를 해도 매달 500만원이 있어야 하는데 현실은 은퇴 후 평균 국민연금 수령액이 96만 6000원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내가 쓰고 싶은 돈과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의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은퇴 후에도 내가 쓰고 싶은 돈을 쓰면서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쓰고 싶은 생활비 이상의 돈이 매달 들어올 수 있어야 하는 것이죠.

 

 

“막연히 잘 살고 싶어요”라는 말 대신 필요한 준비

 

예를 들어, 30대 초반의 한 맞벌이 신혼부부를 떠올려 보겠습니다.

 

결혼 2년 차, 자녀 계획도 있고 소득은 안정적입니다.

 

월 평균 소득: 670만원

월 지출: 400만원

월 저축 가능액: 270만원

 

은퇴 후에도 매달 500만 원을 쓰려면 30년 기준 최소 18억원이 필요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고려하더라도 14억 4천만원은 따로 마련해야 하죠.

 

지금처럼 저축만으로는 60세까지 약 9억 7천만원밖에 모을 수 없습니다.

 

결국 4억 7천만원 이상이 부족한 셈입니다.

 

이마저도 출산 이후 육아휴직 기간을 고려하거나,

생각하지 못한 시기의 빠른 은퇴까지 발생한다면 부족한 노후대비자금은 더 늘어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은퇴 후에도 매달 500만원을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해야 할 3가지 핵심 전략

 

1. 비정기 지출부터 정리하라

불필요한 소비부터 줄이고,

정기 vs 비정기 지출을 명확히 나눠 관리합니다.

가계부를 쓰고, 소비 성향을 체크하세요.

 

비정기 지출에서 불필요한 지출과 줄일 수 있는 지출 항목에서 지출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1000만원을 벌어도 900만원을 쓴다면

300만원을 벌고 150만원을 쓰는 사람보다 소득이 낮은 것이나 마찬가지에요.

 

2. 저축과 동시에 절세형 장기투자 병행하기

은퇴 후 500만원을 쓰고 싶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소득이 높은 시기부터 장기 투자에 들어가야 해요.

 

예를 들어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에 매달 62만 원씩을 납입해 연 5% 수익률로 30년 정도 투자한다면

은퇴 시점에 약 7억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더 보수적으로 연 3% 수익률을 가정한다면, 매달 약 85만 원 정도를 투자해야 해요.

 

이렇게 적극적인 투자를 하지 않아도 일정 수준의 노후대비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런데 핵심은 그냥 저축만으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출을 줄여 저축액을 늘려 ‘저축 + 소극적 투자(low lisk low return)’ 를 한 것입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적용되어서 절세라는 또 다른 이득도 가져올 수 있게 되는 것이죠.

 

3. ‘투자용 종잣돈’ 만들기 → 단계별 부동산 투자로 자산 불리기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 저축을 무리해서 하는 건 좋지 않아요.

실질적인 노후 대비를 위해서는 소극적 투자만으로는 목표에 다가가기가 쉽지 않아요.

 

이럴 땐 시간순으로 도달해야 할 목표에 따라 우선순위를 나누고,

그에 따라 단계별로 전략을 펼쳐나가는 것이 필요해요.

 

앞으로 2~3년 간은 소극적 투자를 통해 미래의 작은 준비와 함께 저축을 통해

미래의 완벽한 준비를 위한 적극적 투자에 ‘쓸 돈’ 마련에 집중해야 합니다.

 

동시에 미래의 완벽한 준비를 위한 적극적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나의 시간을 이 투자공부에 넣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노후를 위한 ‘쌓을 돈’은 소액이라도 쌓여가면 투자공부를 통해 쌓아온 시간을

투자라는 결과로 만들어가는 것을 반드시 시작하세요.

 

이렇게 목표별로 구분해서 전략을 짜면,

어떤 돈을 어디에 쓰기 위해 모으는지 명확해지고 불안감도 훨씬 줄어들 거예요.

 

지출을 줄여가며 월200만원을 모아가며 2년간 5000만원을 모으고,

그 종잣돈을 수도권, 지방이라는 구분을 두지 않은 채 가치 있는 부동산으로 투자를 통해 바꿔 나가고,

또 2년을 반복해서 또 다른 부동산을 내 것으로 만들어 나갑니다.

 

기다림을 시간을 통해 가치 있는 자산이 가치 이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매도를 통해 종잣돈을 불려 더 좋은 자산으로 바꿔나가면서 내 자산의 크기는 조금씩 커져가게 됩니다.

 

 

내 인생의 투자 로드맵, 이렇게 그리다

 

이렇게 스케치한 투자 로드맵을 실질적인 행동으로 로드맵에 색칠을 하면서 구체화 해 보세요.

연도주요 행동저축/투자 현황투자 자산

2025~

2026

매년 2500만원 저축 + 연금저축 750만원5000만원 종잣돈 마련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1채 매수

3억원 매수 / 2.65억원 전세

2027~

2028

동일한 방식으로 5천만원 추가 저축

+ 매년 연금저축 750만원

5000만원 종잣돈 마련

지방 광역시 아파트 투자

3.2억원 매수 / 2.7억원 전세

2030

매년 2500만원 저축 + 연금저축 750만원

2026 매수한 투자 부동산 매도 → 1.3억원 수익

5000만원 저축 + 1.3억원 수익

부천 역세권 27평 준신축 매수

6.2억원 매수 / 4.6억원 전세

→ 수도권 갈아타기

2032

매년 2500만원 저축 + 연금저축 750만원

2028 매수한 투자 부동산 매도 → 1.4억원 수익

2030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300만원 회수

5000만원 저축 + 1.4억원 수익

+ 2300만원 회수금

성북구 구축 24평 아파트 매수

7.5억원 매수 / 5.6억원 전세

→ 서울 갈아타기

2036

매년 2500만원 저축 + 연금저축 750만원

2030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300만원*2번 회수

2032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800만원*2번 회수

4년간 1억원 저축 + 전세금 상승분 1억원 회수금

노원구 구축 24평 아파트 추가 매수

7억원 매수 / 5.2억원 전세

(3주택자 진입)

2038

매년 2500만원 저축 + 연금저축 750만원

2030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300만원 회수

2032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800만원 회수

2036 매수한 부동산 전세상승 → 2600만원 회수

5000만원 저축 + 전세금 상승분 7700만원 회수금

수지구 아파트 추가 매수

6억원 매수 / 4.9억원 전세

(4주택자 완성)

 

이렇게 10년간 지방 중소도시, 지방 광역시 소액투자를 통해 자산을 쌓고 매도하고.

서울, 수도권의 더 가치있는 자산으로 바꿔나가는 것입니다.

 

결국 서울과 경기권에 4채의 아파트를 보유하면서,

전세상승분을 통해 2년마다 1억원 이상의 전세금 회수가 가능해졌습니다.

 

전세상승으로 인해 매년 5000만 이상의 현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매월 500만원이 내 손에 잡히게 되는 것이죠.

 

 

‘막연함’을 ‘구체적인 숫자’로 바꿔야 합니다

 

“잘 살고 싶다”는 말 대신

“10년 후 4채 보유하고, 은퇴 후 매월 500만원 확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하세요.

 

“투자가 무서워요”라는 말 대신

작은 종잣돈부터 소극적 투자로 시작하고, 공부하며 투자 역량을 키워가세요.

 

“시간이 없어요”라는 말 대신

자동이체 + 장기 투자 전략으로 수동소득 시스템을 만드세요.

 

결국, 내가 전세금을 올려서 돌려받으면 이 아파트라는 부동산의 매매가격은 더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되며,

은퇴 이후 마르지 않는 화수분이 되는 것입니다.

 

 

은퇴 후에도 매달 500만 원 이상 쓰며 살아가는 인생 2막

막연한 꿈이 아니라 지금 시작하면 현실이 됩니다.

 

이 글이 막연한 불안 속에 있는 30대 신혼부부, 늦지 않았을까 생각하는 40대분들에게도

든든한 재무 나침반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user-level-chip
25. 07. 18. 08:46N

멘토님 구체적인 예시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후추보리user-level-chip
25. 07. 18. 08:47N

구체적인 목표를 나침반 삼아 적극적으로 미래를 일궈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멘토님🩵

도리밍user-level-chip
25. 07. 18. 08:47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