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신축 아파트 청약이 되었는데 입주장이라 전세가 많이 낮아서 융자를 끼게(주담대)되어서 전세가 안나갈 수 있다고 하여 월세로 내 놓으려고도 생각중입니다ㅠㅠ
차후에 계약기간이 전세든 매매든 얼마 남지 않았다고 가정할때 전세낀 매물보다 월세낀 매물을 사람들이 덜 선호하거나 전세낀매물보다 더 가격을 낮게 해서 팔아야 하는 리스크가 있을까요? ㅠㅠ
그동안 전세놓는 법만 공부했다가 월세를 돌려야한다니 덜컥 겁이나서 여쭤봅니다.. ㅠㅠ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맑은달빛님 신축 분양을 받으신 상황에 전세와 월세를 놓는 방향에 대해 고민 중이시네요 차후 월세낀 매물을 사람들이 덜 선호하거나 전세를 낀 물건보다 더 가격을 낮게 팔아야할지 물어봐주셨는데요. 1. 월세를 놓을 경우 달빛님께서 초기 현금이 부족하시다면, 더 많은 융자를 받게 되실 텐데, 이부분에 대해 받으시는 월세로 융자 원리금을 상환하시면 실제 부담 측면에서는 비슷합니다! 2. 하지만, 전세 세팅에 비해 월세 세팅이 융자를 더 많이 받게 되시므로 해당 주택 이외에 다른 주택에 대해서는 주담대가 나오기 힘들 수 있습니다. (DSR) 3. 향후 투자 계획이 있으시다면 기존 받아두신 융자로 인해 잔금 대비가 어려워지실 수 있으니 이점도 감안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4. 다음 계약에 대해 매매/전세를 하실 경우에도 기존 월세를 맞춘 경우에 대해서 큰 차이가 있지는 않습니다. 5. 다만, 매도를 투자자에게 하시게 될 경우 투자금이 전세 낀 것보다 많이 듣기에 수요 폭이 줄 수는 있습니다. (계약 기간 중 매도, 만기시는 문제 없음) 참고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맑은달빛님 당첨된 신축 아파트 입주자에서 전세가가 많이 낮은 상황이군요~ 적투님 말씀대로 월세를 놓게 되면 주담대를 받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출이자는 월세로 충당이 가능할 것 같은데요 전세가 나가지 않는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월세로 계약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말씀주신대로 추후 매도 시 남은 계약기간에 따라 월세낀 매물을 덜 선호할 수는 있습니다 계약기간이 3-4개월 정도 남은시점에서 실거주자가 매수한다면 전세 / 월세 모두 큰 리스크는 없는데요 만약 갱신권이 살아있고 실거주자가 매수하는 것이 아닌 투자자가 매수하는 상황이라면 전세가 껴져 있는 것보다 월세가 껴져 있는 상황이 투자금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매도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전세/월세를 고를 수 있다면 가격이 좀 낮더라도 전세를 고를 것 같은데요 다만, 지금 현재 상황의 입주장에서 전세나 월세를 맞춰야하는게 급선무라면 두 가지를 내놓고 전세 손님이 올 경우 낮은 전세라도 맞춰보려는 노력을 해볼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입주장이라 낮은 전세로 현금이 5천 정도 필요하다면 신용대출 혹은 마통으로 감당이 되는지 점검해보고 결정할 것 같습니다 전월세 잘 빠질 수 있도록 응원합니다:)
맑은 달빛님 안녕하세요 : ) 전세든 월세든 만기에 실거주자가 매수한다면 거주형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2년 뒤에 투자자가 매수하는 경우가 문제가 될 수 있겠는데요. 실거주하는 사람이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임차인분께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여 더 거주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전세인 경우에는 매매 전세 차이만큼만 지급하면 매수가 가능하지만 월세입자인 경우에는 매매 월세 차이만큼의 금액을 지불해야해서 투자금이 많이 들어갑니다. 때문에 투자로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월세보다는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부분 고려하여 의사결정 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