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감사로 모든 문을 여는 감사의열쇠입니다.
저는 싱글 투자자로
지방 소액투자를 해야 하는 투자자입니다.
최근 2호기 까지 마무리를 하고
투자를 복기하면서
가장 뼈아프게 다가온 부분이 있었는데요.
이 부분을 공유드리면서
동료분들은 저처럼 아쉬움이 없게
투자를 계속 이어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후기를 정리합니다.
여러분,
지방 소액투자자인 우리는
'어떤 단지에 투자해야 하나요??'
우리가 배운대로
가치 대비 저평가 되어 있으면서
소액의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치대비 저평가는 모든 투자에 적용 되어야 할
투자의 기본과 같은 요소가 될 것 입니다.
우리가 끊임없이 비교평가를 하는 이유 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액의 투자금'은 지방 소액 투자자가
더 비중을 두고 봐야할 조건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항상 내 투자금에 넘어서는 단지만
쳐다 보게 되는 현실..ㅋㅋ)
제가 투자 의사결정을 할때는,
저평가 되었는가?
소액의 투자금인가?
지역 안에서 선호도 있는 단지인가?
를 중점적으로 보고 투자에 적용 했던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이 투자 기준에 대해서 동의가 되실까요?
만약 그렇다면..
지금의 저와 같이
내가 진행 했던 투자에 대해서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와 같은 소액 투자자.
특히 1년에 모을 수 있는 종잣돈이 적은 투자자에게는
저평가가 되었는가
이 것과 함께 더 비중있게 고려해야 할 것은
였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저평가_가치 대비 싼가?
환금성_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선호도)이면서, 매도가 가능한가?
수익율_전고대비 목표 수익율 달성이 가능한가?
원금보존_적절한 전세가율인가?
리스크_최악의 경우 잔금 대응 가능한가?
수준으로 확인한 후
투자를 진행하였는데요.
결과적으로는
투자 지역의 공급으로 인해
투자금의 회수, 매도 수익 실현 기한이 늦어져
다음 투자 계획이 미루어 질 수 밖에 없는
아쉬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왜 그때 그 의사결정을 했을까'
생각해보았는데,
단순히 그때는
잘 몰랐던 것 같습니다(ㅋㅋ)
내 상황에서 나는 어떤 투자를 해야 하는 사람인지를요.
나의 상황을 명확하게 인지 하고,
나의 투자 방향이 "지방소액투자"라면
그에 맞는 투자 플랜이 나오고,
투자 의사 결정 또한 연결되어야 할 것 입니다.
아마 이러한 복기 포인트도,
월학에서 밥잘 튜터님께서 짚어주지 않으셨다면
지금까지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튜터님께서는
라고 따끔하게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나의 투자를 가만히 복기 해보면서
소액 투자자에게 있어서
“환금성”의 시기까지 더 심도 깊게
고민했어야 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지금 저평가 된 이 단지가
사람들이 좋아하면서,
매도가 가능한가?'
라는 질문에서
라는 질문으로 더 깊이 들어갔어야 했다는 것!
1년에 모을 수 있는 종잣돈이
2~3천만원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싱글 투자자라면,
다음 투자를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빠른 전세금 회수와 매도 수익실현이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빠르게 수익을 실현' 할 수 있는 단지에
투자 할 수 있을까요?
미래는 알 수 없는 것 아닐까요?
놉!
강의에서 배운 것들을 잘 복기해보신다면,
지방에서는 '공급'이 주택의 가격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
(앞에서 살펴본 저환수원리 투자 기준에 더해,
한번 더 체크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물론,, 예정에 없던 공급이 생기기도 하는 것이
지방 시장이지만요.
이미 내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 지표 안에서는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실제로 저와 비슷한 시기에 투자를 진행한 동료 중에는
'빠르게 수익 실현이 가능한 지역'에 투자하여
이미 수익을 실현했기에
더 좋은 단지로 갈아타거나
전세 상승분으로 다음투자를 계획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 졌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지방소액 투자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예정된 공급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서
가치 대비 저평가 되어 있으면서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한다면,
빠르게 수익을 실현하고,
다음 투자까지 이어 나갈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지방 소액투자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
1. 나의 상황 점검
(나의 종잣돈, 내가 가진 시간, 나의 인생 플랜)
2. 내 상황에 맞는 투자 방향 설정
(가치성장투자, 소액 가치성장투자, 지방 소액투자)
3. 지방소액투자로 방향을 잡았다면, 투자 의사결정 시 수익을 실현하는 시기까지 고려하기
4. 예정된 공급이 적은 지역을 유심히 보기
-감사의열쇠-
저의 경험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후기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정말 경험하면서 느낄 수 있는 부분이네요. 저평가 정말 중요한 부분이지만 각자의 상황에 맞춰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함께 점검하려는 노력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의 상황을 점검하며 투자방향 설정하기!! 소액투자를 해야함에도 장기보유가 될 수 있는 물건을 보는 실수를 하면 안되겠네요! 열쇠님 소중한 나눔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