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재이리 튜터님 반의 '중꺾마' 입니다.
동료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흐릿한 앞마당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도 모든 앞마당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OOOO' 을 하고나서
조금은 기억세포가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그건 바로..
'원페이지' 입니다.
"원페이지.. 작성해보려고 했는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원페이지 작성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없어요.."
"원페이지 그거 너무 어려운거 아니에요..?"
"투자하는데 문제없지 않나요?"
계속 고민만 하실건가요?
흐릿한 앞마당으로 계속 남기실건가요?
앞마당을 투자로 연결하고 싶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흐릿한 앞마당을
조금은 선명하게 만들어줄
앞마당 원페이지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보겠습니다.
저의 앞마당 원페이지 양식입니다.
1.랜드마크 단지 가격 변화
항목별로
설명드리기에 앞서
랜드마크 단지 가격 변화는
왜(Why) 확인하는 걸까요?
→ 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반응하는 단지이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랜드마크가 반응했다고 해서 그 지역 전체가 그렇게 변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
호갱노노 → 단지명 검색 → 매매/전세 → 최근 6개월 드래그
랜드마크의 가격 변화를 통해
이 지역의 현재 흐름을 가늠해봅니다.
▶ 서북구의 불당지웰더샵은 매매가는 소폭 상승하고, 전세는 보합하고 있네?
(심화) 다른 생활권의 대표 단지들은 어떤 상황일까?
2.매매/전세 물량
아실 → 매물증감 → 지역 선택(일별 매물현황) → 매매/전세/월세 체크
매매/전세 물량의 증감이 어떻게 되는지
현재 상황은 어떤지를 확인해봅니다.
▶ 매매 물량이 많이 쌓여있네? → (매수) 가격 협상에 유리할 수 있겠다. (매도) 물량이 많아서 매도가 쉽지 않겠어..
전세 물량이 많이 쌓여있네? → 전세가가 하락할 수 있겠다. 전세 셋팅이 어려울 수 있겠다.
매매 물량은 많고 전세 물량은 적으면? → 가격 협상해서 싸게 사고 전세 셋팅하면 되겠다! 등등..
3. 시세트래킹(생활권별 대표 단지 or 저평가 단지 등)
각자의 시세트래킹 양식 활용
이 지역의 생활권별 대표 단지 가격들은 어떤지
어떤 단지가 저평가 된 것 같지? 등을 생각해봅니다.
지난 번 원페이지 작성 때 가격과 매매/전세 가격이 이렇게 변했네?
4. 지역 내 이슈 확인(뉴스 기사, 청약 경쟁률, 공급 등등)
아실 → 공급물량 → 지역 선택
내가 작성하고 있는 지역의
공급 물량을 그래프로, 표로 확인해봅니다.
공급 뿐만 아니라
호갱노노, 네이버 등을 통해
청약경쟁률이나 해당 지역에 대한 부동산 기사를
확인하는 것도 유의미합니다.
▶ 천안 서북구는 '26년에 공급이 없는데 '27~28년에 두정, 성성동 위주에 공급이 많네?
지금 투자하면 전세 만기 시점에 역전세 Risk가 있을 수 있겠어... 등
5. 지역 정리/리스크/내 생각 기록
1~4번을 작성하는 이유는
결국 5번을 작성하기 위한
빌드업인데요..!
위에서 확인했던 데이터와
나의 생각들을 정리해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투자와 연결짓는
나의 생각을 작성해보셔야 합니다.
최종 장표
다 작성하고 보니
이렇게 장표가 구성됩니다 ㅎ
이 1장을 작성하는 이유는
흐릿한 앞마당의 기억 세포를 살려보고,
내가 고생해서 만든 앞마당이
현재 어떤 상황인지
투자로 연결할 수 있는 지를 보기 위함입니다.
바로 적용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페이지 양식 공유.ppt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