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네?! 전세보증보험 한도가 KB시세 90%에서 → 80%로 바뀌었다고요? [히말라야달리]

  • 25.07.28

 

 

 

안녕하세요

히말라야달리입니다:)

 

 

 

이번에 임장을 하며

예상 전세가를 물어보다

“보증보험 한도가 

기존 90%에서 80%로 줄어들어서
제가 예상한 전세가에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는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두괄식 결론😊

아뇨! 여전히 90%입니다!

 

 

 

 

보통 세입자분들은 

전세사기 등을 우려해
전세보증보험의 가입 한도 내에서 

전세금을 맞추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변화가 꽤나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3억짜리 집을 매수해서
기존 기준(90%)에 맞춰 전세 2.7억을 예상하고 있었다면,
한도가 80%로 줄어들면 

최대 전세금은 2.4억이 되어버립니다.
👉 즉, 갑자기 투자금이 

3000만 → 6000만 원으로 늘어나는 매직….😱

 

 

 

 

만약 엄청난 전세난이라
보증보험 가입이 안 되더라도 그냥 들어오겠다는
매우 희귀한 세입자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 차이는 직접적인 수익률 변화나 

자금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다른 부사님들께 여쭤보아도

최근 바뀐 정책이라 그런지

다들 잘 모르고 계셔서

매우 당황했는데요😭

 

 

 

 

/

 

 

결론적으로

직접 HUG에 전화해 확인한 결과
이번에 줄어드는 비율은 

‘전세보증보험’이 아니라,
‘전세대출’에 대한 보증 비율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글자가 많이 겹쳐서 헷갈릴 법도..!😅)

 

 

 

 

✅ 정리하자면,

✔️ 전세보증보험여전히 KB시세의 90%까지 가입 가능
→ 예: KB시세 3억이면, 전세보증보험은 2.7억까지 가능!

✔️ 하지만 세입자가 받는 전세대출 보증 한도80%로 축소
→ 즉, 실제 세입자가 대출로 받을 수 있는 전세금은 2.4억까지!

(수도권 및 규제 지역에 한정)

 

 

 

 

사실 그동안 저도 규제가 발표되면 

겉으로 드러나는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큰 이슈들만 파악했지,
나머지 세부적인 변화까지는 

살피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앞으로는 나와 관련 없어 보이는

시장의 작은 변화들도

민감하게 체크해야겠다는 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니,
혹여나 저처럼 잘 모르고 계셨다면

부사님보다 더 꼼꼼하게~

우리가 먼저 잘 체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쿳쥐
25. 07. 28. 18:20

엇. 미묘하게 다르군요! 감사합니다🩷

리썬
25. 07. 28. 18:28

달부님 꼼꼼한 체크 감사합니다!♡

노마드현
25. 07. 28. 18:50

규제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꼼꼼히 체크해야겠네요💕달리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