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히말라야달리입니다:)
이번에 임장을 하며
예상 전세가를 물어보다
“보증보험 한도가
기존 90%에서 80%로 줄어들어서
제가 예상한 전세가에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는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보통 세입자분들은
전세사기 등을 우려해
전세보증보험의 가입 한도 내에서
전세금을 맞추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변화가 꽤나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3억짜리 집을 매수해서
기존 기준(90%)에 맞춰 전세 2.7억을 예상하고 있었다면,
한도가 80%로 줄어들면
최대 전세금은 2.4억이 되어버립니다.
👉 즉, 갑자기 투자금이
3000만 → 6000만 원으로 늘어나는 매직….😱
만약 엄청난 전세난이라
보증보험 가입이 안 되더라도 그냥 들어오겠다는
매우 희귀한 세입자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 차이는 직접적인 수익률 변화나
자금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다른 부사님들께 여쭤보아도
최근 바뀐 정책이라 그런지
다들 잘 모르고 계셔서
매우 당황했는데요😭
/
결론적으로
직접 HUG에 전화해 확인한 결과
이번에 줄어드는 비율은
‘전세보증보험’이 아니라,
‘전세대출’에 대한 보증 비율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글자가 많이 겹쳐서 헷갈릴 법도..!😅)
✅ 정리하자면,
✔️ 전세보증보험은 여전히 KB시세의 90%까지 가입 가능
→ 예: KB시세 3억이면, 전세보증보험은 2.7억까지 가능!
✔️ 하지만 세입자가 받는 전세대출 보증 한도는 80%로 축소됨
→ 즉, 실제 세입자가 대출로 받을 수 있는 전세금은 2.4억까지!
(수도권 및 규제 지역에 한정)
사실 그동안 저도 규제가 발표되면
겉으로 드러나는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큰 이슈들만 파악했지,
나머지 세부적인 변화까지는
살피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앞으로는 나와 관련 없어 보이는
시장의 작은 변화들도
민감하게 체크해야겠다는 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니,
혹여나 저처럼 잘 모르고 계셨다면
부사님보다 더 꼼꼼하게~
우리가 먼저 잘 체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