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오늘을 더 열심히 사는 열혈베컴입니다.
작년 5월에 지투기를 듣고 나서 D지역을 임장을 가고 싶어
7월에 자실을 갔었는데요
역시 이번에도 자모님의 명강의는 저를 D지역으로 가고 싶게
만드네요 ㅎㅎ
자모님의 트레이드마크인 히히 웃음소리를 들으면서
투자범위까지 알게 되었는데요
내가 넣은 투자금으로 100%수익률이 날 것 같은 곳에 투자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지방은 환경, 학군이 중요하고
상품성은 브랜드, 연식, 세대수, 택지, 지방사람들이 좋아하는 위치를
보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지방 지역을 공부하는 이유는
‘미리 지역을 알아놓고 기회를 잡기 위해서’
‘스스로 투자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렇게 되려면 ‘지역 별 비교평가’를 할 수 있 수 있어야 합니다.
1.D지역 인구와 투자
D지역뿐만 아니라 지방은 전체적으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진건 아니지만
아무거나 사면 오르겠지라는 마음으로 투자하면 안됩니다.
그래서 지방에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를 잘 골라서 투자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D지역은 양극화가 극대화되고 있는데요
선호입지와 비선호입지의 전세가 방어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비선호입지는 전세거래가 안되고 선호입지는 전세거래가 되고
그렇기 때문에 부사님에게 전세가 잘 거래되고 있는지 물어봐야 합니다.
인구이동을 보는 이유는 전세운용과 매도시기를 알기 위해서인데요
수요가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하고 만기 6개월 이전
호갱노노에서 인구이동을 필수로 확인을 해야 합니다.
2. 지역분석 :생활권 정리
위치가 좋으면 상품성이 좀 떨어져도 되고
위치가 좋지 않으면 상품성이 좋아야 합니다.
그래서 임장할 때 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생각하면서
상권등이 휑하고 도로에 아파트가 드문드문 있으면
외곽쪽을 임장하고 있구나라고 생각을 해야 합니다.
3. 직장
직장을 분석할 때 산업별 사업체 수를 보게 되는데요
제조업이 많으면 대부분 연봉이 좋지 않고
금융 및 보험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많으면
대부분 연봉이 높은편입니다.
3. 학군
학군을 볼 때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와
학업성취도 S대 입시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하는데요
D지역은 전국구로 학군이 굉장히 좋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D지역에 들어오려고 하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D지역의 S구는 학군으로서의 입지가치가 있습니다.
그리고 출산율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초등학생 학급당 학생수가
많다는 건 3040세대 엄마들이 많은 동네라는 뜻이기 때문에
부동산 구매력이 높다라는걸 나타냅니다.
4. 환경
사람들은 백화점이 있으면 살기 좋은 곳이고
가까우면 좋은곳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다만 D지역의 J구는 환경이 굉장히 좋은곳으로 입지 가치가 있지만
중심가와 가까운곳보다 조금 떨어진 곳을 더 선호합니다.
홍대보다는 잠실의 입지가치가 더 높고 사람들이 더 선호하는 것처럼요
5. 공급
D지역은 이미 전세가가 빠질대로 빠진 시장입니다.
아직 전세물량과 전세가가 정리가 안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투자금이 많이 들어가니 미리 알아두고 앞마당으로
만들어서 기회를 잡아야 합니다.
6. D지역 투자전력
아직 매매가가 오르지 않은 단지들 중에서
입지와 연식이 좋은 순서대로 투자 우선순위로 리스트업해서
기회를 살펴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모님께서 될까? 가 아닌 ‘된다’의 마인드로
할까?가 아닌 ‘한다’의 마인드로
‘반드시’의 마인드로 한다면 못 할 것도 없다라고 말씀하신 게
인상깊었습니다.
자모님의 열정적이고 인사이트 넘치는 강의 덕분에
또 한차례 성장한 기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M: 시세트래킹 만들것
임장보고서 목표 시간 설정하기
댓글
열혈베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