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6개월 이내에 전입 신고 항목 문의드립니다!!

  • 25.07.30

안녕하세여 

6.27 정책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매임하던 도중 잔금을 치면 매수하기 괜찮은 매물이 있어서 알아보다가 '매수하고 6개월 이내에 전입 신고를 해야한다'.
이 문제에 대해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Q1) 전입 신고를 하고 얼마나 이를 유지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Q2) 그리고 잔금을 치고 전세입자를 받는데 리스크는 어떤게 있을까요?

 

저는 현재 무주택자이고, dsr 고려해서 잔금 및 전입 신고는 가능한 상황입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후바이
25. 07. 30. 11:08

묵묵2님 안녕하세요 :D 매력적인 물건을 발견하신 것 같습니다. 1) 전입 유지 기간은 은행의 상품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전세대출에 해당되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받을 확율이 높기 때문에 말씀드리자면 지금까진 정부에서 추가 규제 미확정이라고 해명한 상태이긴 하나 추진하려는 찌라시로 나왔던 보완 대책 중 전세 대출 실행 후 명의 변경도 확인 할 수 있다고도 합니다. 기존 규제에서는 전세계약 시점과 대출 실행일(잔금일) 시점의 명의자를 확인 한다거나 했던 것 같은데요. 대출 후에도 재검(?) 기간을 3개월, 6개월 이런 식에 대한 고려고 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영구적으로 유지하기엔 어려움이 큰 안이기 때문에 이제 끝났네. 라고 하기엔 아쉽지만 그래도 함께 살펴보시면서 임차셋팅에 고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잔금 치고 임차 셋팅 시 리스크 잔금의 기약을 알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리스크입니다. 두달 세달 아니면 반년까지는 칠 수 있겠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원리금을 상황하기 시작하면 이 금액들을 낼거면 그만큼 낮춰서 뺄 걸 그랬나..? 아니면 투자금이 좀 더 들어가더라도 덜 깎고 매도인지 주전으로 살아달라고 할 껄 그랬나 ? 같은 부분들이 걸릴 수 있고 즉 투자금이 더들어 갈 수 있다는 점과, 1항에서 말씀드린 투자금이 오래 묶일 수도 있다는 점이 있겠씁니다. 잔금 치고 매수는 구매력이 높은 협상에서 우위를 가져갈 수 있는 장점때문에 고려하는데 단점까지도 고려하시는 모습 멋지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