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맞출때 특약

안녕하세요. 러키제이입니다.


항상 도움많이 받아서 감사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


세입자를 맞츄려는 시기가 오는만큼 특약을 좀 고민중인데,


아래 문구 중 신경쓰이는 부문에 선배님들께서는 어떻게 사용하고계신지, 어떻게 변형시키셔서 사용하는지, 아니면 사용하지않는지 고견부탁드립니다.


임차인은 만기 6개월 전부터 최소한 2개월 전까지 이사 여부를 미리 통보한다

->2개월 짧은것같은데 괜찮은지..


임대차 계약 미연장 시 새로운 임차인 방문에 적극 협조하며 다음 임차인 계약 전 미리 이사 날짜를 잡지 않는다.

->미리 이사날짜 잡지말라는 말을 임차인들이 잘 오케이하는부문인가요??


마지막으로..!


세입자가 은행전세대출을 받는다고 하면 전세계약에 있어서 특약에 임대인 입장에서 기재할만한 내용이 있을까요?

->보증금을 세입자에게 돌려줄지 은행에게 돌려줄지 출처 부문 외 혹시 더 챙겨야하는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웰뜨user-level-chip
23. 12. 19. 01:16

안녕하세요, 러키제이님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세 특약 관련해서 걱정도 많이 되고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에 되게 걱정 많이 했습니다. ㅎㅎ 3개의 특약에 대해서 1, 2, 3번이라고 하고 의견 드리도록 할게요~ 1. 2개월은 지역마다 짧은 기간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다만 전세를 맞추는데 얼마만금의 시간이 걸릴지는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2개월 보다는 최소 3개월 이상으로 하시는 게 더 안전할 것 같긴 합니다. 2. "~하지 않는다." 라고 표현하는 것은 세입자분이 좀 기분나빠하거나 꺼려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미리 이사 날짜를 잡지 않는다" 보다는 보통 "다음 임차인과 날짜를 협의하여 정한다."로 작성하고 재계약 시점이 다가왔을 때 만약 세입자분이 나간다고 한다면 미리 이사 날짜를 잡으면 전세금 돌려드리기가 좀 어려울 수도 있으니 다음 세입자를 구하고 정하는 방향으로 해달라고 유선상으로 말씀드리면 좋을 것 같아요. 3. 보통 임차인보다는 임대인이 전세자금대출 받는 것에 동의한다로 많이 특약을 씁니다. 따로 작성해야 할 부분은 없는 것 같고 보증금을 은행에게 돌려줘야하는지만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러키제이님 계약 잘 마무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호재라이언user-level-chip
23. 12. 19. 08:13

안녕하세요. 세입자분께 전세보증금을 돌려드리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지만, 혹시 모를 상황을 위해 미리 이사 날짜를 잡지 말아 달라고 말씀하시면 이해하실거에요! 그리고 전세대출 관련해서는 은행에 따라 매도인과 전세계약을 해야 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즐거웁게user-level-chip
23. 12. 19. 12:45

안녕하세요 러키제이님! 궁금하셨을텐데 질문 잘해주셨어요 ㅎㅎ 1) 먼저 1번은 3개월 정도가 더 안전하세요 ㅎㅎ 2) 계약서상 문구로는 <임차인과 날짜를 협의하에 정한다> 가 더 좋구요 설명을 잘 드리는 게 좋습니다 <날짜가 정해지면 다음 세입자 구하기가 좀 더 어려워서요 그 기간동안만 기다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하고 부드럽게 말씀드리기로요 ㅎㅎ 3) 보증금을 은행에게 돌려주면 되는지 확인하시는 정도면 충분하실 것 같습니다 ㅎㅎ 러키제이님 투자를 응원드립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