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생입니다.
8월 전국 랜드마크 및 생활권대장
지방 시세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기준은
하락률 -20%이상 = 저평가
하락률 -20%이하 = 고평가
아실 최고가에서 순위별로 나눠 놓은 단지이니
참고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 부산광역시
부산은 저번달에 비해 여전히 대장단지와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단지들은 고평가
구간으로 접어든걸 알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저평가 구간으로 있는 단지들은
이전에 -30%하락률 이였지만
점점 고평가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단지들이 하나둘씩 보이고 있어
하반기에는 많은 변화가 있어 보입니다.
02. 대구광역시
대구도 저번달과 비슷하게
대장단지외 랜드마크가 고평가 구간이지만
이번달부터는 동구 밑의 급지 대장단지부터
움직이는게 미세하게 보여서
대구도 다음달이나 하반기부터는
변화가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03. 대전광역시
대전은 물량이 많은대도 불구하고
대장단지나 랜드마크 단지는계속
고평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구축이여도 생활권에서
선호도가 있는 단지들은 고평가를 유지하고 있고
입주물량이 끝나지 않는이상은
계속 이 현상을 유지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04. 울산광역시
울산은 이제 거의 고평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중구의 선호있는 구축도 이번달부터는
고평가로 접어들기 시작했으며,
머지 않아 동구의 준신축 단지들도
고평가 구간으로 진입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05. 광주광역시
광주는 저번에과 비슷하게 현재 물량으로 인해서
연식좋은 단지는 아직 고평가 구간이고
그 외의 단지들은 저평가 구간으로
기다려 주고 있습니다
05. 경상남도
경남은 저번달과 비슷하게 대장단지와
신축단지들은 고평가이고
성산구,의창구 구축과 마산,진해쪽의
준신축 이하는 저평가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06. 충청남도
충남의 천안도 저번달과 비슷하게 신불당 대장단지와
각 생활권의 랜드마크들로는 고평가 구간이며,
나머지 단지들은 아직 저평가로 머물러 있습니다.
07. 충청북도
충북의 청주는 연식좋은것과 아닌것이
저평가,고평가가 확실하게 섞여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선호와 비선호 단지여서
연식이 좋은 저평가 단지는
입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07. 전라북도
전북의 전주는 이미 입주물량이 예전부터 적어서
저번달과 똑같이 고평가 구간임을 알수 있습니다.
07. 경상북도
경북은 각 생활권의 대장단지들은 고평가 구간이며,
저번달과 비슷하게 흐름이 안온 단지들은
저평가 구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댓글
전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