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연봉이 5억이 넘는 지인 한 분이 예금만으로 작년에 금융소득이 2,000만원이 넘어서 원천징수당한 15.4%에 추가로 종합소득세 30.8% 및 건강보험료 8%를 내시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200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거의 절반을 조세로 내셨기 때문에…^^;;;

이 사례를 보고 돈이 아무리 많아도 수익률이 크면서도 절세를 할 수 있는 투자를 해야, 남는게 있겠구나 생각을 했었습니다.

 

저는 부동산에 돈이 많이 묶여있어서 추가 저축을 주식으로 할 생각은 전혀 해보지 못했었는데요, 이 강의를 듣고 시장수익률 정도를 안전하게 내는 동시에 절세효과까지 누리면서 기대수익률 24% 알파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안 하는 것>과 <몰라서 못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중에 전세금을 올려 받아서 여유자금이 생기거나, 부동산 투자 대기자금으로 잠시 운용이 필요할 때 비과세혜택 / 세금할인혜택 & 연평균 수익률 10%로 훌륭하게 굴릴 수 있으니까요. 

 

주식투자는 부동산보다 공부할 것이 더 많아보이고 위험과 변동성이 크다는 편견만 있었는데 주식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시장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을 알려주셔서 정말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손실에 대한 두려움, 이미 많이 올랐다는 가격부담감도 모두 없어졌습니다. 1985년부터의 데이터를 가져와 통계적으로 한 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주셔서 잠깐 손실을 보더라도 강남아파트처럼 팔지 않고 장기간 보유하면 연평균 10%는 볼 수 있겠구나하는 근거를 가질 수 있게되었거든요. 게다가 가격이 조금 떨어졌을때 기다렸다가 매수하는 것이 좋은지 매달 기계적으로 타이밍에 대한 고려없이 사는것이 좋은지에 대한 판단도 어떻게 해야할지 데이터로 보여주셔서 속이 시원해졌습니다.  회사 후배들에게도 제가 알게된 이 꿀정보를 널리 전파하고 싶지만 꼰대가 되겠죠?^^:

재테크기초반 강의는 들으면 들으수록 정말 강사님들께서 정성을 다해서 만드셨다는 것이 너무 와 닿습니다.. 좋은 강의 들을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적용할 점]

  1. 미래에셋 연금저축/ ISA계좌 만들기 (완료)
  2. 미래에셋 홈페이지 이벤트 신청하기(완료)
  3. 부동산 투자대기저축금액→ ISA계좌로 보내고 S&P ETF매수(단, 괴리율 1% 미만인지 보고 사기), 필요할 때 투자원금은 자유롭게 인출
  4. 여유자금(부동산 투자대기저축금액x) → 연금저축계좌로 보내고 S&P ETF(단, 괴리율 1% 미만인지 보고 사기) : 돈이 필요할 때는 16.5% 기타소득세 내고 인출하면 됨
  5. ISA계좌 3년 만기시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해서 10% 세액공제 받기
  6. IPR계좌는 위험자산70%제한이 있으므로 운용하지말고, 회사DC도 중도인출 가능할 때 인출해두기
  7. 나무가 됐을 때 월 적립식으로 S&P500 ETF 기계적으로 매수하기 (월25만원은 ISA 비과세한도채우기용/ 나머지는 연금저축으로 세액공제 받고, 세액공제 한도 초과금액은 페널티 없이 인출가능)
  8. 팔지말고 장기보유 장기보유 장기보유!

댓글


금빛 Silver
25. 08. 10. 20:02

Summary의 여왕!!! 이해력도 엄청 높고 정리도 진짜 잘 하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