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250813 미국마감시황] 금리인하 기대감 폭발 🎊

16시간 전

🇺🇸 2025년 8월 13일(수) 미국 증시 마감 시황

 

1.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 /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다우존스

44,458.61

+1.10%

S&P500

6,445.76

+1.13%

나스닥 종합지수

21,681.91

+1.39%


2. 미국 증시 요약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7월 CPI가 예상과 대체로 부합하며 9월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커져 상승 마감했습니다. S&P500과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CPI는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2.7%로 둔화했지만,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1%로 소폭 상회했습니다. 자동차 부품·가구·중고차 등 관세 노출 품목 가격이 반등하며 관세 영향이 일부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발표 직후 9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은 94%로 급등했고, 달러 약세·국채금리 변동 속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됐습니다. 장 초반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소송 발언으로 변동성이 있었으나, 결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장 후반 지수가 상승하며 견인완료되었습니다.

 


3. 시장 주요 흐름 및 특징 종목

 

① 대형 기술주

  • 애플 (+1.09%)
  • 마이크로소프트 (+1.43%)
  • 메타 플랫폼 (+3.15%)
  • 알파벳 (+1.25%)
  • 아마존 (+0.08%)

애플은 머스크의 “앱스토어 불공정 경쟁” 발언으로 단기 노이즈가 있었으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주가 방어에 성공하며 +1.09% 상승했습니다. 고가 제품 수요가 금리 완화 시 회복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반영됐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메타와 AI 핵심 인재 영입 경쟁 소식에 AI 기술 선도 이미지가 부각되며 +1.43% 올랐습니다. 메타 플랫폼은 자사 인력의 핵심성이 주목받으며 AI 산업 내 입지 강화 기대가 반영돼 +3.15% 상승했습니다. 알파벳은 크롬 브라우저 인수 제안 소식은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광고 효율화와 AI 기반 수익 개선 기대감에 +1.25% 상승했습니다. 아마존은 7월 온라인 거래 급증에도 소비 둔화 우려와 밸류 부담으로 +0.08%의 제한적 상승에 그쳤습니다.

 

 

② 반도체

  • 엔비디아 (+0.60%)
  • AMD (+1.55%)
  • TSMC (+0.91%)
  • 브로드컴 (+2.94%)
  • 마이크론 (+3.26%)
  • 퀄컴 (+3.89%)
  • 램리서치 (+3.22%)
  • 인텔 (+5.62%)

엔비디아는 금리 인하 기대가 호재였지만 중국 정부의 자국 대형 기술기업에 칩 구매 중단 지시 소식이 부담으로 작용해 +0.60% 상승에 그쳤습니다. AMD(+1.55%)와 TSMC(+0.91%)는 금리 완화 기대에 동반 상승했으나 대형 고객사 매출 둔화 우려로 폭이 제한됐습니다.


브로드컴(+2.94%), 마이크론(+3.26%), 퀄컴(+3.89%), 램리서치(+3.22%)는 금리 인하와 공급망 우려 완화로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브로드컴은 데이터센터·AI 수요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인텔은 트럼프의 CEO 사임 시사 발언으로 장중 하락했으나, 백악관 회동 후 발언이 완화되면서 +5.62% 급반등했습니다.

 

 

③ 전기차·배터리

  • 테슬라 (+0.53%)
  • 루시드 (+3.65%)
  • 리비안 (+0.34%)
  • 앨버말 (-3.44%)
  • 리튬아메리카 (-6.56%)
  • 퀀텀스케이프 (+2.97%)

테슬라는 머스크가 xAI의 앱스토어 불공정 경쟁 문제를 거론하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언급, 단기 변동성이 확대됐으나 +0.53% 상승 마감했습니다. 동시에 xAI에 대한 테슬라 지분 투자 가능성을 시사해 투자자 관심이 유입됐습니다.
루시드는 17일 신차 발표 기대가 매수세로 연결되며 +3.65% 상승했고, 리비안은 장 막판 반등으로 +0.34% 올랐습니다.


앨버말(-3.44%)과 리튬아메리카(-6.56%)는 중국 리튬 가격이 장중 상승폭을 줄이자 차익 매물이 출회했습니다.
퀀텀스케이프는 장기 배터리 기술 기대감으로 +2.97% 상승했습니다.

 

 

④ AI·클라우드·소프트웨어

  • 팔란티어 (+2.35%)
  • 팔로알토 (+4.30%)
  • 오라클 (+0.47%)
  • 세일즈포스 (-0.44%)
  • 서비스나우 (-0.34%)
  • 우버 (+1.27%)

팔란티어는 금리 인하 기대 속 고밸류주 매수세가 유입되고, 경쟁사 빅베어AI의 실적 부진·정부 계약 실패로 반사이익을 얻으며 +2.35% 상승했습니다. 팔로알토는 파이퍼샌들러의 투자의견 상향으로 +4.30% 급등했으며 오라클도 기업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 소식에 +0.47% 상승했습니다.


세일즈포스(-0.44%)와 서비스나우(-0.34%)는 실적 기대 대비 모멘텀 둔화로 약세를 보였고, 우버는 여행·배달 성장세와 자율주행 잠재력 분석이 긍정적으로 작용해 +1.27% 상승했습니다.

 

 

⑤ 양자컴퓨터

  • 아이온큐 (-4.32%)
  • 디웨이브퀀텀 (+6.56%)
  • 아킷퀀텀 (+3.77%)
  • 리게티컴퓨팅 (+1.38%)

아이온큐는 최근 공적 연기금 매수 소식으로 상승했던 주가가 실적 개선 우려 부각으로 -4.32% 하락했습니다.

디웨이브퀀텀(+6.56%)과 아킷퀀텀(+3.77%)은 금리 인하 기대 속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상승했으나, 리게티컴퓨팅은 손실 축소 기대감에 +1.38% 상승했으나, 장 마감 후 실적 부진 발표로 시간외 하락 전환했습니다.

 

 

⑥ 제약·바이오

  • 일라이릴리 (+0.66%)
  • 머크 (+0.34%)
  • 화이자 (+0.28%)
  • 유나이티드헬스 (+3.65%)

일라이릴리는 경구형 임상 부진으로 하락했던 주가가 반발 매수세로 +0.66% 상승했습니다.
머크(+0.34%)와 화이자(+0.28%)는 제한적 강세를 보였고, 유나이티드헬스는 PBM 규제 우려 완화 소식으로 +3.65% 급등했습니다.

 

 

⑦ 비트코인·스테이블코인

  • 코인베이스 (+0.94%)
  • 서클 인터넷 (+1.27%)
  • 스트레티지 (-1.46%)

코인베이스는 매출 호조와 USDC 유통량이 전년 대비 90% 증가(613억 달러)한 점이 호재로 작용하며 +0.94% 상승했고, 서클 인터넷도 실적 호조로 +1.27% 상승했습니다.
반면, 스트레티지는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1.46% 하락했습니다.

 

 

⑧ 금융·항공·여행

  • JP모건 (+1.14%)
  • BOA (+2.90%)
  • 골드만삭스 (+3.36%)
  • KKR (+4.01%)
  • 델타항공 (+9.23%)
  • 아메리칸에어라인 (+12.09%)
  • 부킹홀딩스 (+1.81%)
  • 에어비앤비 (+2.76%)

JP모건, BOA, 골드만삭스, KKR 등 금융주는 금리 인하 기대가 직접 수익 모델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각각 +1.14%, +2.90%, +3.36%, +4.01% 상승했습니다.
 

델타항공(+9.23%)과 아메리칸에어라인(+12.09%)은 CPI에서 항공료가 전월 대비 4% 상승한 점이 수익성 개선 기대를 자극했으며, 부킹홀딩스(+1.81%)와 에어비앤비(+2.76%)도 여행 수요 회복 모멘텀을 이어갔습니다.

 


4. 정리 및 투자자 코멘트

CPI 발표 후 시장은 ‘보험성 인하’ 기대를 강화하며 금리 민감 업종과 경기주에 강하게 반응했습니다. 특히 항공·금융·반도체는 모멘텀이 뚜렷했고, 일부 기술·AI주는 개별 뉴스에 따라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향후 9월 FOMC 전까지 관세·고용·물가 지표의 변화가 랠리 지속 여부를 결정할 핵심 변수입니다.

​​

 

 

감사합니다.​

제도권주식분석 드림.​


댓글


주아팬더
25. 08. 13. 13:33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인해 후끈 달아오른 시장이네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은 여전히 있는 것 같습니다.

탑슈크란
25. 08. 13. 17:03

CPI가 높지 않네요. 미국에 인플레이션이 안오는게 관리를 참 잘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꿈꾸는미래
25. 08. 13. 17:11

분석 진짜 좋네요. 열어 봐야겠지만 이런 모멘텀이나 개별 흐름 확실히 알아야 장투할 수 있는 체력이 생기는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