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것 (내용 정리) | ||
페이지 | 중요 문장 | 느낀 점 |
26 | 집은 자산이 아니며, 특히 그것이 가장 큰 부채라면 곤경에 처한다. = 우리 집이 부채이며, 그것이 가장 큰 투자가 되면 곤경에 처한다. | 2008년 미국의 주택시장붕괴가 집이 자산이 아니라는것을 알려줌. 돈을 주지도 않고 가치가 오른다는 보장도 없는집. 이런 집은 자산이 아님. |
56 |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자신은 그대로 놔두고 늘 남들만 바꾸려고만 하지. 이 점을 명심하렴. 다른 사람들보다 나 자신을 바꾸는 것이 훨씬 쉽단다. |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하는것보다 내가 바꾸는게 더 현명하고 빠른 길. |
64 | 그들은 돈이 더 많이 있다면 문제가 다 해결될 거라고 생각한다. 실은 자기의 금융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걸 깨닫지 못하고 말이다. | 돈이 많이 있는것보다 금융지식이 있는게 더 이득. |
70 | 인간의 삶은 두가지 감정에 의해 지배된다. 그것은 바로 '두려움'과 '욕심'이다. | 두려움보다 욕심이 많으면 배울것이고, 욕심보다 두려움이 많다면 그대로 주저 앉게 될것이다. |
76 | 직장은 장기적 문제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책일 뿐이야 | 직장에서 나오는 돈은 최종목표를 이루기 위한 현금흐름일뿐. 여기가 최종도착지는 아님. |
77 | 돈의 힘을 정복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싶다. 두려워하는 게 아니라 통제하는 법을 가르쳐주마. 학교에서는 그런 걸 가르쳐 주지 않아/ 그렇지만 그걸 배우지 않으면 돈의 노예가 되지 감정이 사고를 지배하도록 내버려 둬서는 안돼 | 돈의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돈을 두려워하지 않고 통제하는 법을 익혀야함. 감정보단 사고를 해야함 . |
105 | 얼마나 버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얼마나 모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 돈을 많이 버는것보다도 몇퍼센트로 모을수 있는지가 나의 습관, 소비성향을 말해주기 때문에 얼마나 모으는지가 중요하다 |
124 | 돈을 더 많이 번다고 해서 금전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바로 지식이다. |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아는것이 지식이다. 자산은 내 지갑에 돈을 넣어주고 부채는 내 지갑에서 돈을 빼간다. |
지금 중산층이 위험에 직면하게 된 까닭은 금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 대출을 받고 집을 사는 행위는 중산층에게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다. 이대로 간다면 내 대출금을 갚는데 인생을 허비할것이다. | |
138 | 수입을 창출하는 자산을 사는 데 전념하라. 이것이 부자로 들어서는 최상의 방법이다. | 부채와 지출을 줄이고 임금을 자산을 사는데 사용하면 부자가 될것이다. |
163 |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람들이 대개 팽생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기 때문이다. | 세금과 회사를 위해서 일하고 있는 우리는 언제 우리를 위해서 일을 하나...? |
163 | 당신만의 사업을 시작하라. 직장을 유지하면서 부채가 아닌 진짜 자산을 사라 | 소비하는 물건이 아닌 진짜 자산을 사서 현금흐름을 더 만들어 내라 |
170 | 자기 사업을 하라는 것은 자산 부문을 튼튼하게 다지라는 의미다. 일단 자산 부문에 돈을 투입하고 나면 절대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라 | 투자하고 나면 이것을 얼마나 오래 보유하냐의 문제다. 될수 있도록 오래 가져가라 |
235 | 중요한 것은 재무재표와 투자전략, 시장에 대한 감각, 법률지식이다. | 투자를 해야할 때 알아야 할것은 재무재표, 투자전략, 시장감각, 법률지식이다. |
255 | 교육을 많이 받은 아버지에게는 직업의 안정성이 모든 것을 의미했다. 부자아버지는 배움이 모든것을 의미했다. | 금융지식이란 회계,투자,마케팅,법률지식이 결합된 것이다. 투자만 많이 알아서 중요한게 아닌 두루두루 다 알고있는게 중요하다 |
261 | 많은 것에 대해 조금씩 알아야 한다 | 한가지분야를 파서 김연아,박태환같이 못할바에는 많은것에 대해 조금씩 아는게 나은건가...? |
268 | 더 많은 돈을 벌고 싶다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 때마다 나는 똑같은 것을 권한다. 삶에 대해 장지적인 안목을 가지라는 것이다. 단순히 돈과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일하기보다 두 번째 직업을 가지라고 권한다. ~ 장기적으로 볼떄, 교육은 돈보다 훨씬 귀중하다. | 우리가 투자로서 부자가 되자고 할때, 한가지분야를 깊게 아는것보다 여러가지분야를 넓게 아는게 투자에 도움이 된다. 한 분양에서만 쌓은 전문성은 거기서 쫓겨나는 경우 아무짝에도 쓸모없게 될 수 있다. |
274 | 성공에 필요한 주요 관리 기술을 위와 같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전문 기술은 세일즈와 마케팅이다. 판매하는 능력, 즉 고객이든 직원이든 상사든 배우자든 자식들이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능력은 개인적인 성공을 거두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이다. 글쓰기와 말하기, 협상하기와 같은 의사소통 기술은 성공적인 삶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다. | 세일즈,마케팅,의사소통기술은 성공적인 삶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이다. |
290 | 나는 이제껏 살아오면서 이기는 것이란 대게 지는 것 뒤에 오는 것임을 알게되었다. | 실패를 해야 성공이 온다. 실패에 두려워말자 |
295 | 부자가 되고 싶다면 반드시 집중해야 한다. 가난한 이들이나 중산층이 하는 것처럼 몇 개 안 되는 달걀을 여러 바구니에 나눠 담지 마라. | 돈이 조금있으면 우리는 균형이 아닌 집중을 추구해야함. ! 집중! |
321 | "그럴 여유가 없다"는 말 대신 사고방식을 바꿔 "어떨게 하면 그럴 여유를 마련할 수 있을까?"라고 말하라 | 난 할수없다 가 아니라 어떻게 할지 HOW, 방식을 찾는다면 인간은 못할게 없다. 정작 앞을 가로막는건 내 자신, 앞길을 터줄것도 내 자신이라는 것. |
322 | 가난한 아버지는 늘 다른 모두에게 돈을 지불한 후에야 자신에게 지불했다. 하지만 대개는 다신에게 지불할 수 있을 정도로 남아 있는 돈이 없었다. 반면, 부자 아버지는 언제나 자신에게 먼저 지불했다. | 성장을 하다보면 고비의 순간들이 있는데 이를 다시 끌어줄수 있는 자극점(다른 압박들잉 추가적인 수입원을 찾도록 해주는것)이 있어서 앞으로 더 나가아게 해준다는것. |
323 | 부자아버지는 자신이 오만하게 굴대마다 돈을 잃었다고 말했다. 그 오만함으로 인해 자신이 모르는것은 중요하지 않다는 믿음이 생겼기 때문이다. | 내가 아는 지식들만 돈을 벌어다줄것이라고 오만하지 않아야함. 부동산 외에도 주식, 코인, 사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한가지만 파기보다는 다른것도 대략의 흐름은 알아야 도움이 될듯. |
334 | 돈이 없다고 해서 그것이 배우지 않는 데 대한 변명거리가 될 수 는 없다 먼저 교육에 투자하라 | 아무리 가난하다고 해서 배우지 못했다고 하는 핑계는 지난 시대인거같다. 아무리 가난해도 내가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도서관에 가서 책한권이라도 볼수있는 시대아닌가? 교육에 대한 대한민국의 의지는 투철하다. 하지만 금융교육에 대한 무지는 개선하려고 하지 않는 나라... 금융교육을 모두 배운다면 이보다 삶이 나아지지 않을까? |
338 | 집 한두채를 산다고 해서 당신이 부동산 전문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 오만하게 행동하지 말자. 내가 한두채 거래해보았다고 해서 그게 다가 아님을 항상 기억하자. 난 아는것보다 모르는게 더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자 |
339 | 똑똑한 사람이라면 양쪽 모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늘 마음을 열어두라 | 양쪽 의견을 모두 들어보고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가난한 사람들은 대부분 치킨리틀의 이야기를 듣는다고 한다. 가난하거나 겁먹은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말자 |
355 | 많은 사람들이 자기보다 덜 똑똑하고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사람들만 관리한다. 수많은 중간 관리자들이 더 이상 승진을 하지 못하고 중간 관리자로만 남는 이유는 그들이 아랫사람과 일하는 법은 알면서도 윗사람과 일하는 법은 모르기 때문이다. 진짜 기술은 일부 실질적인 분야에서 당신보다 더 똑똑한 사람들을 관리하고 보상하는 것이다. | 내가 가진 금융지식보다 나보다 더 똑똑한 사람을 곁에 두어서 더 나은 금융선택을 할수있어야 한다. |
364 | 만일 내가 당신에게 오직 한 가지 새각만을 가르펴 줄 수 있다면 나는 이걸 가르치겠다. 무언가가 필요하거나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먼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주라. 그러면 되로 줘도 말로 돌아올 것이다. 이는 돈과 미소,사랑 그리고 우정에 있어서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 내가 먼저 바라기보다는 내가 원하는 것을 상대에게 주면 언젠가 상대도 내가 원하는것을 준다. |
깨달은 것 (느낀 점) |
좁은분야를 깊게 아는것보다 많은 것에 대해 조금씩 알고, 여러곳의 분산투자보다는 집중투자를 해야한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능력치를 쌓고 한가지 분야에 조금밖에 없는 돈을 집중투자해야 부자가 되는건가 보다 |
집0호기를 사기전에 보았던 책인데 이번이 2회독이다. 투자1호기를 하고 난 뒤에 보는거라서 감회가 남달랐다. 소비를 할때 내 지갑에 돈을 넣어줄수 있는 걸 사라고 하는것은 지킨거 같다. 감정에 의한 소비는 줄이고 사고에 의한 나에게 돈을 주는 소비를 꾸준히 해야겠다. |
나 역시 전문적인 직업이다. 한때는 나도 이 전문적인 분야에 흠뻑 빠지고 싶어 대학원도 가고 상급 자격증도 땃지만 이를 통해 바뀌어 지는건 없었다. 즉 직장안에서 내 상급 자격증은 진급도 연봉상승도 더 나은 처우도 가져다 주지 못했다. 부자아빠는 전문적인 곳에서 깊게 일하고 싶으면 노조가 있는곳에서 일하라고 했지만 내 직업상 노조가 없다... 그럼 나는 이 분야를 거의 10년째 일하고 있는데 성공적인 삶은 구축하는데 필요한 세일즈,마케팅,의사소통기술을 익힐수 있는 직업으로 갈아타야 하는것일까? |
적용할 것 (BM) |
일단 주식에 대해서 공부를 좀 더 해보고(많은것에 대해 알아보기) 단기적으로 주식에투자해서 or 저축을 해서 돈모으기 |
성공적인 삶을 위하여 세일즈,마케팅,의사소통기술을 배울수 있는 직업이 있나 3개만 찾아보기 |
들어본 강의라고 이미 다 안다고 생각하지 않기,지난 강의를 다시 보면서 새로 안것들을 확인하고 내가 오만했다고 느끼고 부족하다 생각되면 재수강하기 |
댓글
행복한 썬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