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강의는 양파링님과 함께하였는데요.
- A지역 분석
- 단지 선호도 파악
- 6.27 규제 대응 전략
크게 3가지로, 지역 뿌수기 뿐만 아닌 현재 시장에서의 투자 전략까지 해결해주셨습니다.
긴 시간도 짧게 느껴지는 양파링 님의 매직! 중요한 내용들 잊지 않고 적용해야겠습니다!
# B/M.1 대규모 공급을 기회로 만들기
- 본 : 대규모 + 연속된 공급은 어떤 기회를 줄까 ?
- 깨 : 대규모 공급을 단지 전세가 하락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투자기회를 놓칠 수 있는 방법?이다. 전세가가 하락한다는 것은 매매가도 올라가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오히려 싼 매매가로 투자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이 오르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기존 단지들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는 것!
- 적 : 대규모 공급에서 기회를 찾으려면, 투자를 위한 적절한 타이밍을 알아야한다. 바로 비슷한 공급을 경험한 지역에서의 가격 흐름을 파악 하는 것! 비슷한 상황의 지역에서는 입주 직전과 입주 2년차 신축 단지들이 어떻게 가격 흐름을 가져갔는지, 기존 단지 가격은 어땠는지를 분석해보고 해당하는 지역에 적용해보기!
# B/M.2 신축단지, 이 가격이 적정한가요 ?
- 본 : 신축단지들이 적정한 가격인지를 판단해봐야함.
- 깨 : 서울/수도권 신축들의 경우 전고점이 형성되어있지 않고, 기본적으로 분양가가 높기 때문에 막연하게 비싸다라는 생각이 든 적이 많았지만..! 이는 너무 느낌적인 느낌으로 단지를 바라보는 것. 기존에는 나름의 방법으로 같은 생활권에 있는 비슷한 가치의 단지를 통해 신축 단지의 가격 적정성을 고민해보곤 하였습니다. 이럴 경우, 그 지역 전체적인 가격의 흐름에 따라 가격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시야가 좁아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비슷한 급지의 신축단지들과의 비교를 통해 가격 적정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 적 : 단지 vs 단지로도 가능하겠지만, 입지 좋은 신축 / 입지가 덜 좋은 신축 등 비슷한 입지 가치를 가진 비슷한 위상의 다른 지역 단지들과 비교를 통해서 가격 적정성 판단해보기!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