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둘리2리)

25.08.15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 도서 제목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로버트 기요사키, 민음인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가난한 아빠 : 세금을 내는 것이 애국이다.

부자 아빠 :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 것이 애국이다.

가장 인상깊으면서도 가장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다…(납부하지 않는 것까지는 아니지 않을까?)

 

부의 사분면도 인상적이다

E 봉급생활자

S 자영업자

B 대기업 사업가(직원 500명 이상 고용)

I 전문투자자(직접, 대규모)

 

세율은 자영업자가 봉급생활자 대기업 사업가 순으로 직접투자자는 무려 0퍼센트 이다…

 

E와S 사분면에 있는 사람이 B와I 사분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영적지능, 정신적 지능(배우려는 지식과 능력), 감정적 지능(실수로 부터 배우는 능력), 신체적 지능(실천력)이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고 한다.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대학원 버전이라고 말하는 이책에서도 다시 부자아빠와 가난한 아빠가 등장한다

 

가난한 아빠는 고학력자였다. 그는 스탠퍼드 대학을 2년만에 수석으로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 노스웨스턴 대학을 거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렇게만 보면 부자가 되었을 것 같지만 경제적 자유가 아니라 돈에 쫒기는 인생을 살았다. 로버트 기요사키가 말하는 금융 문맹에 해당하였다.

반면에 부자아빠는 학력이 높지 않지만 하와이 부동산 부자이며 돈이 나를 위하게 일하게 하자는 원칙이 있었다.

 

부자아빠는 만약 네가 너의 돈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네 돈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여기서 재미있었던 대목은 중산층이 경제적으로 힘들어하는 이유는 부자가 아니라 영업사원의 조언을 듣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워렌버핏은 “롤스로이드를 타는 사람이 지하철을 타는 사람에게 조언을 구하는 곳은 월스트리트밖에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책에서도 돈이 시장에 풀리면서 발생하는 화폐가치 하락을 지적하며 저축하는 사람이 패배자라고 말하며, 부자들은 세금을 이용해 더 부자가 된다고 말한다.

또한 부자들은 실수를 통해 성장하고, S사분면에 머무르려 하지 않는다고 한다.

부자들은 싼 가격에 매입하기 위해 폭락을 기다리며 금과 은 기업을 헐값에 매수한다.

그리고 부채를 활용한 투자 및 비과세(전세레버리지 활용시 전세금 상승분에 세금을 매기지 않듯이)를 이용하여 점점 더 부자가 된다고 한다. 좋은 부채는 부자로 만들어주고 나쁜 부채는 가난하게 만드는데 여기서 나쁜 부채는 갚아야 하는 빚인 반면 좋은 부채는 디른 사람들이 대신 갚아 주는 빚이다.

 

빈곤층은 지출에 초점을 맞추고 중산층은 부채에 초첨을 맞추는 한편 부유층은 자산에 초점을 맞춘다. 자산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주머니에 돈을 넣어 주고, 부채는 비록 그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주머니에서 돈을 빼 간다. 

 

소득에는 3가지 유형이 있다. 첫번째로 일반 소득은 근로소득을 의미하고, 두번째로 투자 소득은 자본 소득으로 저가에 매수하고 고가에 매도할 때 생기는 돈이 나를 위해 일할 때 발생하는 소득을 의미하며, 세번째로 수동적 소득은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으로 부동산에서의 임대 소득을 의미한다.

 

부자들의 유령소득도 소개한다. 부채와 자산가치 상승을 이용한 수익이다. 부채를 이용하여 부동신을 취득한 다음 자산가치 상승을 이용하여 부채를 늘려 현금흐름을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세입자의 월세로 부채를 상환하는 것도 유령소득이며, 부동산의 감가상각도 유령소득이라고 하는데 이부분은 우리나라 세법과 다른 것 같다.

 

전반적으로 미국과 우리나라의 세금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포르쉐를 사기위해 훌륭한 자산을 찾아서 현금흐름을 만든다는 포르쉐경제학도 흥미로웠다.

 

✅ 나에게 적용할 점

B와 I 사분면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겠다.

이를 위해 플랜B를 세우고 많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아야겠다.

 

오랜만에 브루마불 게임이 하고 싶어졌다…

 

 

 

 


댓글


둘리2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