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을 무력하게 만든다. :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거짓 안정감에 집착하며 산다. 두려움은 사람을 가난하게 만든다. 인생의 기본적인 금융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
- 자존감을 무너뜨린다. : 자존감과 자아 존중이 낮아져서 효과적이고 단호하게 행동할 수 없게 된다. 금융에 문맹인 사람은 돈을 어떻게 다루는지 아는 척하며 살아간다.
- 사람을 좌절시키고 화나게 한다: 문제에 올바른 답을 찾지 못한다. 항상 돈이 부족할까 봐 걱정하기 때문에 행복하고 풍요롭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가 어렵다.
-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 마음이 열려 있지 않다. 부자는 사악하고 탐욕스럽고 잔인하다고 믿는다. 돈이 많으면 자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할 거라고 믿는 사람이 많다.고정관념이 교육 부족으로 인한 고통, 혼란, 어리석음, 무력감도 덮어 버린다.
- 자신이 피해자라고 믿는다. : 세계 경제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잇는지 모른다. 자신의 돈문제를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그 중 대다수는 자신의 돈문제를 부자들을 탓한다. 대부분 세금 제도의 희생자라 믿는다. 부자들이 세금을 거의 내니 않는다는 말을 들으면 화를 낸다. 부자들이 어떻게 세금을 적게 낼 수 있었는지 그 방법을 찾기보다는 부자들을 ’도둑놈‘ ’사기꾼‘이라고 부른다.
- 사람들의 눈을 멀게 한다.: 수백만 달러를 벌 기회가 있어도 보지 못한다. 만난 적도 없는 낯선 사람을 자신보다 신뢰한다. 실제 누가 자기의 돈을 관리하는지도 모르면서 장기 투자만 하고 있다. 다가오는 시장 붕괴를 보지 못하고 신뢰에 의존해 투자한다.
- 빈곤의 원인이 된다: 돈이 넘쳐나는 세상 중산층은 줄어들고 빈곤층은 증가한다. 은행이 돈을 계속 찍어 내는데도 수십억 사람들은 계속해서 돈이없다. 이자율이 사상 최저 수준이지만 여전히 대출을 받지 못해 집을 사지 못한다.
- 가난한 투자가가 된다. : 잘못된 이유로 잘못된 시기에 잘못된 것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비싸게 사서 싼값에 팔아 버린다. 월마트에서 할인 행사를 하면 잽싸게 달려가 물건을 사지만 월스트리트에서 할인 행사를 하면 낮은 가격으로 ’할인 중‘인 최고의 투자로부터 도망가기 바쁘다.
- 판단력을 떨어뜨린다. : 가치를 이해하지 못한다. 무엇이 중요한지, 무엇이 가치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자기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 삶을 협오하게 만든다.: 자기가 원하는 만큼 돈을 벌지 못한 채 자기가 싫어하는 일을 하고 있다. 미국 근로자 70%가 실제 자기 일을 싫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 가장 귀중한 자산인 자신의 삶을 팔고 있다.
-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돈을 위해 거짓말하고 도둑질한다.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배우기보다는 세금을 조작하려고 한다.
- 현실을 왜곡한다: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빠져 스트레스를 받고 불안해지면 현실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큰집, 화려한 자동차, 멋진 옷, 비싼 포도주가 자신을 부자로 만들어 준다고 믿는다.
금융에 문맹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 211쪽
금융 문해력을 갖춘다. 금융 문해력의 기본 단어 수입, 지출, 자산, 부채, 현금, 흐름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다음에 도전해 봐라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금융교육이 필요함. 금융문맹에 탈피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 지금까지 돈을 위해 일해 왔기 때문에 부자가 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음.
나에게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은 많이 남지는 않았지만 지금부터라도 저축과 연금으로 노후자금을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제부터라도 나는 저축하는 패배자, 돈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 되지는 않겠다. 가난한 아버지의 생각에서 이제는 부자아버지의 생각으로 자식들을 바라봐야 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