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재테크기초반 9기 55조 김코스] 3강 강의 후기

25.08.16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부동산으로 투자해서 돈 버는 방법이 뭘까?

 

처음에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는 뉴스를 접하고 영끌족들이 수도권 외곽에 있는 아파트를 사서

 

시세차익을 얻는다는 뉴스 기사거리를 본게 생각이 납니다. 20년도 초 상승장 때 부동산은 누구에게나

 

뜨거운 주제였고 올라가는 자산속도를 보자니 그것을 갖지 않고 있는 사람들은 말이 되는 세상이냐며 한탄했으면서

 

하루빨리 기회되는 부동산이 있는지 찾아보고 누군가에게 듣는 정보로 무지성 매수를 일삼았단 시간들이였습니다.

 

 

그런 시간들도 지나서 규제에 규제를 거쳐 지금 부동산 규제가 지나가고 있는 시간.. 부동산으로 어떻게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까요?

 

 

알파와 베타투자를 알았고 알파에 부동산 영역을 강의를 통해 배우게 되었습니다.

 

그냥 듣고 알았던 부동산의 용어들을 하나씩 배우며 기초부터 다졌습니다.

 

부동산 투자의 방법부터 부동산 투자 종류까지 나에게 맞는 투자방법을 비교해봤습니다.

 

특히나 권유디님이 보여주신 그래프를 통해 내가 어떤 선택이 수익을 가져다 주고

 

어떠한 자산이 내가 할 투자 방법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프를 통해 보니 

 

모든 데이터를 아주 쉽게 비교하게 되었고 그러한 결과들이 제게 큰 인사이트를 주기도 했습니다.

 

 

 

 

 

 

부채에는 세금이 없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에 나오는 말입니다. 그리고 권유디님이 아파트 투자에 있어

 

같은 말을 해주셨습니다. 부채에는 세금이 없다. 맞습니다.

 

우리가 내는 세금은 거의 모든 지출에 다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활용할 부채에는 세금이 없습니다.

 

부자는 부채에 세금이 없단걸 아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권유디님이 알려주신 S급 투자는

 

하나만 얻는 부동산 투자가 아닌 2가지 모두를 가져가면서 얻는 투자가 진짜라는걸 알려주셨습니다.

 

흐름과 차익이 같이 있어야만 S급 투자이고 이것이 투자자가 가져가야할 투자 형태라는걸

 

알려주셨을때 어떤 투자 방향으로 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충분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투자가 돈이 되는 과정

 

부동산이 모든게 돈이 되는게 아니였습니다.

 

부동산 투자로 돈이 되는 과정을 직접 구현하면서 알려주시는데 그 과정이 어렵지만은 않았습니다.

 

투자에도 투자요소가 있고 그 요소를 기준으로 돈이 되는 부동산을 선별함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아는 만큼 돈을 벌 수 있단걸 알려주셨습니다. A랑 B를 보다가 C를 보니 더욱더 큰 돈이 되는

 

과정이 생겨났습니다. 부동산은 최소 1억이 있어야만 생각할 자산이라 생각했지만 소액으로도 돈이 될 수 있단걸 알게 되었고 기회는 언제나 있단걸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시스템

 

과거에는 스스로 내 자신을 알기에 자신의 능력을 믿었다면 지금은 시스템, 환경을 믿으며 되고 싶은 사람이 되기 위해 살아간다는 권유디님 말씀이 참 많이 와닿았습니다.

 

어쩌면 많은 후회와 실패를 했으면서도 늘 다짐앞에 그런 내 스스로를 믿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신을 버린다는 말이 아닌 내 인내력과 끈기가 무너지기 쉽다라는걸 살면서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스템과 환경 안에서 내가 있다면 그 무너지지 않는 힘은 더욱 강하게 된다라는걸 월부에 와서 많이 느끼게 됩니다. 처음보든 동료든 함께 해온 동료든 늘 열심히 하고 꾸준한 모습에 많은 에너지를 얻고

 

그런 에너지를 또 누군가에게 나타내는 스스로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것 같습니다.

 

내가 하고싶은게 아무리 많아도 결국 가장 중요한 해야할것은 따로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그 중요한것을 하지 않았을때 몰려오는 후회와 그때까지의 시간동안 사라져버린것들을

 

겪지 않기 위해 되고 싶은 사람, 내가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해야할것을 하고

 

안되는 이유가 아닌 하면 된다, 하는게 반이다라는 생각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권유디님이 주신 마지막 진심으로 드리고 싶었던 이야기들이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과거에 비해 달라졌던 모습들, 두려움보단 용기를 갖고 될 수 밖에 없단 생각을 가질때 변화의 시작일 것입니다.




댓글


김코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