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27기 8월아 아무리 더워봐라 그래도 임장가조 노익스큐스]2주차 강의 후기(작성중)

25.08.18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1강

  • 부동산 공부를 시작한 가장 큰 이유, 돈이 없어서
  • 역으로 부동산에 접근하기 어려운 이유도 된다.
  • 한번도 투자할 수 있는 물건이 없던 시장은 없었다.
  • 완전 경기도 끄트머리까지 올라간 시장 = 대세 상승장
  • 아직은 그 시기까지 도달하기에는 멀었다.
  • 많이 올라왔다는 건 그만큼 떨어질 시간도 다가왔다는 것.
  • 6.27 대출 규제 후 관망세, 올라가 있는 집값이 빠지는 분위기는 아니다.
  • 경기도 핵심지,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는 서울보다 훨씬 많이 오른 곳도 있다.
  • 서울도 서울 나름, 경기도도 경기도 나름이라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비교 평가.
  • ‘서울이 최고야’ 라는 생각은 이제는 지워라
  • 이제는 많이 떨어져 있는 것을 사는 게 능사는 아니다.
  • 급등하거나 절대가 많이 오른 단지들은 급락하는 폭이 진짜 크다.
  • 대규모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있으면? 그게 투자 기회가 된다.
  • 입주 초기에 높게 잘 형성되지 않는 가격 시세가 영향 기간이 장기화된다.
  • 하나 끝나려고 하는데 또 들어오고… 계속 이어지면서 그 기간동안에 오를 틈이 없었다.
  • 앞서 먼저 공급이 마무리가 된 지역을 보고 앞으로 공급이 예정된 지역의 모습을 알 수 있다.
  • 막 입주하는 신축 또는 기존에 그 지역에 있던 기축 단지를 살 수 있는 기회.
  • 공급장에서는 항상 입주 기간이 끝나가거나 잔금 기간이 정해진 날짜가 다가오면 던지는 물건이 나온다.
  • 신축과 2년의 간격을 갖고 시기가 비슷하게 겹치는 단지에서도 물량이 많이 나오게 됌.
  • 신축 가격이 낮게 나오면서 그 옆에 있는 단지는 더 싸게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
  • 2년차 물량과 신축 물량이 한꺼번에 풀릴 때 좋은 기회가 올 수 있다.
  • 공급으로 새 아파트가 들어오면 기존 단지들은 가격이 못 오른다.
  • 연속된 공급이 정리되면 우리가 못보는 찰나의 시간에 전세가가 엄청나게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 전세가가 회복하지만 매매가는 아직 회복하지 않으면서 잠시 머물러 있는 시기가 일시적으로 투자금이 줄어드는 시기

2강

  • 지역을 정리할 때 인구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 적어도 세대당 인구수를 계산해보면 ‘여기에는 조금은 가족 단위 세대가 좋아하겠구나’라는 게 보인다.
  • 임장 가기전에 도시의 모습을 상상 가능.
  • 신규 택지의 전형적인 특징 - 젊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다.
  • 상승장 때 차이가 나는 이유 - 어디 있느냐, 그 위치, 강남 접근성과 연결된다.
  • 환승 없이 강남 안에 있는 곳들을 30분 대에 갈 수 있는 지역이 서울 안에서도 많이 없다.
  • 서울을 둘러싸고 가까운 경기도의 도시들은 일자리보다 거기 사는 사람들의 연봉이 더 높다.
  • 일자리 관련 호재가 있더라도 진짜 중요한 건 어떤 기업이 들어오는가. 얼마나 많은 인재들이 모이는가.
  • 학군지 = 공부 잘하는 학교가 있고, 그 학원가만 가면 다른 학원가를 갈 필요가 없는 곳.
  • 학원가의 질? 국어는 할 수 있는 데 과학은 할 수 없다? 이 정도까지 얘기한다.
  • 어느 정도 학군이 유지되려면 졸업생이 250 정도는 꾸준히 나와주어야 한다.
  • 우리 아이가 어느 초등학교, 중학교를 가는가? - 아파트 선택에 큰 영향.
  • 연식 좋은 단지들이 늘어나는 거도 환경적으로 좋아지는 것.
  • 새 아파트가 많이 들어오면서 일대 환경을 바꾸기 때문.
  • 현재 모습은 어떻지? 앞으로 기회가 될 것은 뭐지? 미래가치는 어떻게 바뀌지?
  • 아파트는 절대 아파트만 들어오지 않는다. 거기에 걸맞는 상권이 들어온다.
  • 새로운 상가에 걸맞는 업종이 들어오면서 환경 개선, 이미지 좋아짐.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 서울급의 경기도는 서울과 비교해서 나에게 맞는 것을 매수한다.
  • 전고점 회복을 안했다면 그 안에서 좋은 것을 고르는 것.

댓글


노익스큐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