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안)한가해보이입니다.
투자 뿐 아니라, 직장에서의 업무, 그리고 개인적인 자기계발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 쏟아붓고 있지만,
아무 것도 바뀌지 않는 것 같고, 더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결과도 나타나지 않는 것 같을거에요.
저 역시 그랬으니까요.
똑같은 시간을 쏟고, 아니 나보다 조금 더 적은 노력을 하는 것 같은데,
저만치 앞서 있는 재능이 뛰어난 동료를 보며
나에게 저런 재능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나도 저렇게 빠르게 달려나갈텐데…
“난 재능이 없나 봐요.”
“열심히 했는데 성과가 안 나요.”
우리는 보통 세상을 덧셈으로 봅니다.
“조금 더 노력 + 조금 더 재능 = 성과”처럼요.
하지만 성과의 세계는 덧셈이 아니라 곱셈입니다.
앤절라 더크워스의 ‘그릿’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성과 = 기술(실력) × 노력 으로 이루어지고,
기술(실력) = 재능 × 노력 으로 만들어진다.
우리가 바라는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도 기술과 노력이 곱해져야 하는데,
이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재능과 노력인 것입니다.
결국 성과는, 재능 × 노력× 노력 이 곱해지는 것인데, 노력은 결국 지속적인 시간투자입니다.
이 모두가 포기하지 않고 계속 시간을 통해 꾸준히 해 나갔을 때 가능한 것입니다.
그래서 꾸준함이 재능을 이기게 되는 것입니다.
재능이 아무리 높아도 ‘누적시간 = 0’ 이 되면 ‘실력 = 0’이 됩니다.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지속되는 인풋 = 0’ 이라면 ‘성과 = 0’이 되는 것입니다.
작게라도 매일 인풋을 넣는 사람이 결국 평균을 넘어섭니다.
1(실력) × 2(매일 시간) × 3(년) = 6 이 되지만,
5(실력) × 5(매일 시간) × 0(년) = 0 은 결국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하게 됩니다
오늘의 이해한 1이 내일의 1을 더 쉽게 만듭니다.
작은 인풋이 연결되며 학습 속도가 붙게 됩니다.
초반은 느리지만, 임계점을 지나면 체감 속도는 점점 빨라지게 되죠.
점수, 수익 같은 겉으로 보이는 숫자는 가장 늦게 나타납니다.
그전에 감, 패턴 인식, 판단력이 먼저 채워져요.
이 과정에서 정체기를 누구나 느끼게 되죠.
그런데 이 정체기가 사실은 실력을 축적하는 축적기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멈추면 직전의 시간이 희석됩니다.
크게 말고, 매일 꾸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2시간이 이상이 이상적이지만, 안 된다면 15~30분이라도 반드시 매일매일 실행해야 합니다.
트리거(신호)를 먼저 만드는 것이 핵심이에요.
“아침 커피 → 학습 시작”
“퇴근 후 집 도착 → 부동산 영상 20분”
“양치 후 → 책 5페이지”
“책 1페이지 / 영상 10분 / 영어문제 2개 / 스쿼드 10개”
이렇게 모조건 하는 기준을 만드세요.
공부앱을 깔고, 북마크를 통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노트 템플릿을 한 번에 열리도록 바탕화면 첫 줄이나 휴대폰 첫 화면에 배치합니다.
시간 가계부를 작성하며 투입한 시간을 기록하고, 무엇을 했는지, 무엇을 배웠는지 메모를 통해 한 줄로 남겨 봅니다.
Q. 재능이 없는데요?
A. 실력 = 재능 × 시간.
재능이 커도 시간이 적으면 실력은 쌓이지 않습니다. 시간은 내가 통제하는 것이에요. 누적시간이 재능 차이를 깎아주게 될거에요.
Q. 시간이 정말 없어요.
A. 최소단위 5분으로 시작해 보세요. “0분 vs 5분”의 차이는 정말 무한대로 나타날거에요.
Q. 성과가 안 보여요.
A. 정체기 = 축적기 입니다. 4-레이어 시스템을 통해 보이게 기록해 두면, 뒤늦게 성과가 올라올 때 스스로 놀라게 됩니다.
Q. 어떤 순간에 멈추나요?
A. 목표가 크고, 기준이 막연할 때 오래 하기 어렵습니다. 작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바꾸면 멈추지 않고 꾸준히 해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축적기의 시간이지만 그 때에는 정체기로 밖에 느껴지지 않을 긴 시간동안 이렇게 해 나가면서 이겨 내는 것이 필요해요.
지금 성과가 안 보이는 건 실력이 안 오르는 게 아니라, 아직 표면 위로 안 드러난 것뿐입니다.
여러분은 멈춘 게 아니라 축적기의 중간에 있는 것이에요.
우리는 덧셈이 아니라 곱셈의 세계에서 살고 있어요.
작게라도 매일 곱이 0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오늘 10분이 내일의 20분을 쉽게 만들게 될거에요.
그게 시간의 복리입니다.
크게 말고, 매일매일 꾸준히.
댓글
0이 되지 않도록 말씀대로 해보겠습니다! 글 정말 좋아요,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글 덕분에 기계적으로 목실감하다가 한번 더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