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우리는 돈을 통해 안정감을 얻고 싶어 하지만, 돈은 결코 안정감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매달리지 말고, 통제할 수 있는 것, 즉 마인드셋에 집중하라.(162p)
부채를 통해 수입과 소비에 대한 마인드셋을 할 수 있다.
돈에 관한 생각
- 돈이 행복을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돈은 자율성을 준다. 그리고 자율성은 나를 훨씬 더 행복하게 만든다.(158p)
-우리는 돈을 통해 안정감을 얻고 싶어 하지만, 돈은 결코 안정감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매달리지 말고, 통제할 수 있는 것, 즉 마인드셋에 집중하라.(162p)
-돈이라는 굴레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면, 감정적 반응은 제어되고 이성적 사고는 가능해져 조금이나마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정해진 답이 있다면 좋겠지만, 결국 선택과 타협의 연속일 뿐이다.(9p)
-돈에 대한 인식은 실질적인 도움을 주면서도, 삶에 대한 경외감을 배제하지 않는다. 적어도 배제해야 할 이유는 없다. 나는 여전히 삶의 놀라운 순간들을 갈망하며, 죽기 전에 더 많은 기쁨을 경험하길 바란다. 심지어 장례에도 돈이 드니, 우리가 죽는 순간까지 돈에 관한 질문이 계속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13p)
부채에 관한 생각
-부채는 동시에 두 가지를 만들어낸다. 하나는 현재의 소비,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래의 현금 창출 의무다.(27p)
호기심
-나는 처음 브리지워터에 입사했을 때 코네티컷 숲속의 창문 없는 사무실에 앉아 레이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려 애썼다. 그의 오래된 발표 자료를 연구하고 녹음된 대화를 들으며 한 가지 중요한 깨달음을 얻었다. ‘틀을 가지면 사고의 깊이가 달라진다.’(27p)
-레이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가가 아니었다. 그는 호기심이 많았고, 경험으로부터 얻는 배움을 중요하게 여겼다.(27p)
-부족함과 과잉 사이에서 중요한 질문은 ‘얼마면 충분한가?’이다.(143p)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꿈을 주의 깊게 살펴라. 거기에는 분명한 지혜가 있다.(156p)
심리
-사실 논리적으로 보면, 주가가 오를수록 투자의 매력도는 줄어들어야 한다. 가격이 더 비싸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의 심리는 정반대로 작동한다.(28p)
-소로스의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경제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다. 그 이유는 반사성 때문이다.” 더 나아가, 나는 이를 ‘인간의 심리’라 해석하고, 여기에 ‘혁신’을 덧붙이고 싶다. 결국 투자자로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않고, 시장의 감정 변화(낙관과 절망)를 읽어야 한다.(28p)
변동성
-이처럼 급변하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은 ‘변동성volatility’이다. 변동성은 변화의 속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금융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뛰어난 트레이더는 자산 가격의 변동 범위를 예상하며 투자 전략을 세운다. 하지만 변동성 개념은 단순히 금융 시장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직업, 저축, 심지어 건강까지도 변동성을 갖는다.(29p)
-이처럼 갑작스러운 변화는 정확히 예측할 수 없지만, 예측할 수 없는 변화 자체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불안함과 평온함의 차이를 깨닫게 되면, 차분한 상태에서 수입, 저축, 은퇴 계획을 세우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29p)
마인드
-자신의 재능을 찾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가?’이다.(36p)
-투자의 측면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격을 변화시키는 힘을 이해하고, 장기적으로 가치가 높은 자산을 저렴하게 매입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완벽하게 할 수는 없지만, 충분히 노력할 가치가 있다.(43p)
-완벽한 답은 없다. 하지만 예산을 세우고,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무위험 포지션’을 명확히 설정하면, 훨씬 더 나은 답을 찾을 수 있다. 나는 이를 숫자로 계산해 보는 것이 논리와 감정을 분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돈 문제는 항상 감정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특히, 부채가 생기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83p)
-최악의 상황을 가정할 것: 시장이 얼마나 나빠질 수 있는지를 예측하고, 내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나빠질 수도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내 자산의 32%가 주식에 투자되어 있다면, 시장이 10~20% 하락할 경우 3.2~6.4%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이는 고통스럽지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139p)
-하나 확실한 것은 ‘무위험 포지션’이 삶을 지배해서는 안 되며 위험을 무조건 무시해서도 안 된다는 점이다(83p)
-나는 투자하는 것을 좋아한다. 오랜 시간 동안 투자에 대해 공부해왔고, 여전히 배우는 중이다. 투자는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이다.(104p)
-내가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언은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고, 복리와 분산투자에 항상 집중하라는 것이다.(121p)
-투자를 배우는 과정은 스포츠를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어떤 스포츠든 처음에는 개별 동작을 익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결국에는 개별 동작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흐름을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투자자는 자신만의 스타일과 접근 방식을 갖게 된다.(122p)
-뛰어난 투자자들도 통계적으로 약 40%의 잘못된 투자 결정을 내린다. 만약 당신이 훌륭한 투자자가 아니라면, 그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137p)
댓글
호에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