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책
책 제목 및 저자 : 자존감 수업, 윤홍균
읽은 날짜 :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자존감, #현재, #자기애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정신과로 찾아오길 주저하는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는 윤답장 선생.
윤홍균 작가님은 <윤옹균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원장이시면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박사과정을 마치신 의사선생님
윤홍균 작가님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로서, 자존감에 대한 중요성을 깨우치시고, 이를 여러 사람들에게 전달
그래서 발매된 책이 바로 "자존감 수업" 2016년 베스트셀러 중 하나
2. 내용 및 줄거리
Part 1 자존감이 왜 중요한가?
- 자존감의 세가지 축 - 자존감은 자신을사랑하는 정도,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다, 3가지 축 - 자기효능감, 자기 조절감, 자기 안전감
- 자존감에 대한 오해와 편견 - 자존감은 부모에게서 온다, 자존감만 회복하면 행복해진다, 자존감이 회복되면 나르시시스트가 된다
- 왜 지금 자존감이 필요한가? - 자존감은 정신 건강의 척도, 진짜 행복은 튼튼한 자존감에서 나온다
Part 2 사랑 패턴을 보면 자존감이 보인다
- 사랑받을 자격을 의심하는 사람들 - 자신이 사랑받을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일은 ‘신뢰’라는 감정에서 출발한다
- 자신의 가치를 부정하는 사람 - ‘괜찮아’ 라는 말을 자주 해주기
- 끊임없이 묻고 확인하는 사랑 - 어떤 것에 애착이 생기면 행복감과 두려움이 씩튼다. 스스로 관대해지고 주체적이 되어야 한다(나를 위한 선물 고르기)
- 싸우면서 끊지 못하는 사랑 - 아무리 좋은 팀이라도 불화와 갈등은 있다 하지만 팀 킬은 가장 어리석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 이별이 무서워 떠나지 못하는 사랑 - 이별은 누구에게나 어렵고 자신을 돌볼 소중한 기회
- 미움받을까 두려워 자신을 포장하는 사람 - 타인에게 가치를 인정받고 쓸모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자존감의 첫 번째 요소이다. 자존감 결여는 인간관계를 망치는 원인이 되지만 그 결과가 되기도 한다. 누구에게나 이드가 있으니 부끄러워 할 필요가 없다
Part 3 자존감이 인간관계를 좌우한다
- 나는 얼마나 인정받고 있을까? 쓸모 있는 존재로 생각해 주는 것, 과정에 집중하라 평가는 나중의 일이고 과정은 현재의 일이다( 오늘 할 일에만 포커스를 맟출 것)
- 자존감을 깍아내리는 직업이 있다 - 계약직/비정규직, 워킹맘, 전업주부, 감정노동자, 동료의 사직을 바라보는 직장인, 수험생 대학생 취업준비생, 전문직 우리는 직장에 출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퇴근 이후의 삶을 위해 살아간다
- 나는 얼마나 쓸모 있는 존재인가 - 자신의 존재감을 평가하는 기준 중에 ‘나는 사회적으로 얼마나 쓸모 있는 존재인가’가 포함되어 있다
- 결정 장애에 빠진 사람들 - 결정 잘하는 3가지 조건: 적절한 타이밍, 자신이 결정하는 범위, 옳은 결정은 없다
- 심리학 책을 아무리 읽어도 자존감이 그대로인 이유 - 기억이 감정을 부른다, 불행했던 과거와 거리두기 혹은 떠나보내기
- 나는 특이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 다른건 나쁜게 아니다
- 눈치 보는 사람의 심리 - 타인의 평가에 민감함
-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람들 - 끊임없이 사람을 갈구한다
Part 4 자존감을 방해하는 감정들
- 왜 감정은 뜻대로 조절하기 어려울까 - 감정은 본능이고 말로 표현하는 건 이성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 감정 조절을 위해 구별해야 할 것들 - 사건, 생각, 감정, 행동, 신체 반응 ( 내가 느낀 감정은 무엇이고 그것을 유발한 사건과 생각은 무엇이며 어떤 신체 반응과 행동이 나았는지 파악)
- 다루기 힘든 감정 다루기: 창피함, 공허함, 양가감정 - 타인의 시선을 의식, 인지적 착오 때문, 핵심감정 인식하기
- 뜨거운 감정다루기 : 자기혐오, 죄책감, 자기연민, 자기애 - 감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파악해야 한다
- 차가운 감정 다루기 : 실망, 무시, 냉소, 무관심 - 감정 온도를 좌우하는 행동 찾아보기
Part 5 자존감 회복을 위해 버려야 할 마음 습관
- 미리 좌절하는 습관 - 파국화 반응, 자기가 근본적으로 무엇을 두려워하는지 알아야 한다
- 무기력 - 의욕을 얻고 싶다면 생각하는 걸 멈추라. 그리고 무작정 몸을 움직여라
- 열등감 - 시간이 지나고 보면 잘난 것도 없고 모자란 것도 없다. 사는게 다 그렇다. 시니컬해지자.
- 미루기와 회피하기 - 문제의 원인보다는 해결 방법 찾아보기
- 예민함 - 예민함을 떨치려면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럼 좀 어때!” “그게 뭐라고!” “좀 잘못되면 어때!”
Part 6 자존감 회복을 위해 극복할 것들
- 상처 극복하기 - 다 지나간 일이다
- 저항 극복하기 - 우리에게 어떤 저항이 있는지 인식하고 극복해야 진정한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다
- 비난 극복하기 - 순수한 질문 답변으로 처리하기. 그 사람의 생각으로 놔두기. 공감은 비난을 대처하는 가장 고차원적인 스킬이다
- 악순환 극복하기 - 어떤 악순환을 이루는지 알아내서 적어보고 그리면서 구체적인 방향을 세워본다
Part 7 자존감을 끌어올리는 다섯 가지 실천
- 자신을 맹목적으로 사랑하기로 결심하기 - 지금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기
- 자신을 사랑하기 - "괜찮아 누구나 그래. 최선을 다했잖아" "지금도 충분히 멋져" "사랑해. 무슨 일이 있어도 네가 사랑스럽다는 걸 잊지마"
-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기 - 스스로 결정하고 존중하기. 결정이 존재감을 좌우한다
- 지금 여기에 집중하기 - 어떤 해결책이든 결국은 ‘현재에 집중’ 할 수밖에 없다. ‘here and now’ 지금 당장 할 일에 집중하는 것
- 패배주의를 뚫고 전진하기 - 뇌가 건강해지면 자존감이 회복된다. 걷기, 표정 짓기, 혼잣말하기
3.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자존감이 건강하면 좋은 평판은 저절로 따라온다
- 자존감은 내가 ‘내 마음에 얼마나 드는가’에 대한 답이다. 타인의 평가가 아닌 자신에 평가에 더 집중해야 한다
- 어떤(what) 결정을 하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결정한 후에 어떻게(how)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 감정이 격해있을 땐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다
- 감정은 중요하지만 절대적 요소는 아니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깨닫고 적절히 대응할 줄 알면 된다
- 자존감을 찾고 싶다면 ‘분석’이 아니라 ‘변화’에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
- 변화는 단 한번의 결심이나 시도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되는 듯하다가 안 되고, 안 될 듯하다가 되기를 반복한다
- 자존감은 이성적으로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의 결정을 존중하는 능력이다
- 난 밀림의 왕이고 세상의 중심이다. 난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소중한 존재다
자존감도 회복되지만 힐링과 위로가 많이 되어준 책 -
“그럼 좀 어때!” “그게 뭐라고!” "괜찮아 누구나 그래. 최선을 다했잖아"
시간이 지나고 보면 잘난 것도 없고 모자란 것도 없다.
사는게 다 그렇다
오늘에 최선을 다하고 즐겁고 행복하면 된다
그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