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돈의 그릇

25.09.14

▼추천도서후기 쓰는 양식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자의 그릇

저자 및 출판사 : 이즈미 마사토, 다산북스

읽은 날짜 : 25-09-1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돈의 이면

#그릇의 크기 

#돈에 끌려가는가? 

 

 

 

 

저자 : 이즈미 마사토

출판 : 다산북스

발행: 2024. 05.01.

 

 

이 책은 부자들이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는 방법, 돈을 대하는 자세, 돈에 대한 인지 등을 가르킨다. 내가 무지하기에.. 이 글의 망한 주먹밥 사장처럼 나도 같은 시선으로 돈에 끌려 가고 있는 건 아닐까... 걱정이 되기도 한 순간이였다

실패에 대해 내가 베스트셀러는 아닐지라도, 복기해 볼 수 있다면 그건 희망이란 메시지를 얻었다.

 

* 부자의 질문

시작/ 선택/ 경험/ 거울/ 신용/ 리스크  

* 부자의 고백

기회/ 부채/ 소유/ 계획/ 장사/ 가격/ 오만 및 오판 

* 부자의 유언

파멸/ 도산/ 그릇/ 사람

** 에필로그

자신의 그릇을 키우고 돈과 인생의 주인이 되는 법

 

돈의 세계는 절대 만만치 않아. 훨씬 가혹하단 말일세

  1. 사람마다의 자기가 담을수 있는 양 만큼의 돈이 다르고 그 외엔 흘러넘쳐 나간 다는 이야기.. 쉬워 보이고 들어는 보았지만. 아직은 내 그 깊이가 어떠함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돈은 일종의 에너지야 열을 뿜어내고 있지. 그런데 사람들마다 적합한 최적의 온도가 전부 달라

  1. 돈이란 다른 온도차로 나와 내 가족 내 아이에게 돈의크기에 따라 다름으로 차츰 경험해 봐야 함을 설명하므로, 나와 내 가족에게 맞는 돈의 범위는 어떠한지 생각하게 한다. 

돈을 다루는 능력은 많이 다루는 경험을 통해서만 키울 수 있어. 이건 결론이야. 처음에는 작게, 그리고 점점 크게

  1. 어른이 되어 분별력이 생기면 다 될수 있다는 착각을 버리자

“돈은 그 사람을 비추는 거울이야”

실제로 그만한 돈을 손에 넣으면 돈을 쓰는 감각이 아니라, 돈에 휘둘리는 감각이 커질 거야.

  1. 내가 만약 큰 금액의 돈을 가진다면 어떻게 쓸지, 관리할지 알수 있을까? 그릇에 대한 고민..
  2.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른 결과가 나의 통장잔고로 나타난다는 사실.. 그것이 신용도 이며 이율이라는 점.. 내가 직장인이기에, 내가 아닌 회사의 신용도로 평가되는 것에, 지금의 직장에 감사함을 갖게 되었다.
     

신용도라는 건 그 사람의 인격에 비례한다고 보네

남을 믿지 못하면, 신용을 얻지 못하는데도 말이야. 자연히 돈은 그 사람을 피해서 돌아가게 되고,

-부자는 신용을 힘을 믿는 만큼 그 믿음에 대한 비용도 더 커지고, 이율은 낮아지며 거래 금액은 커진다는게 자본시장의 의미임을 알게되었다. 나는 어느정도로 타인의 믿을 받을 그릇이 되었는가?

 

리스크 (=돈이 늘지 않는 구조를 두려워함!)

 

돈의 이면 

돈이 지닌 서로 다른 이면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함. 

1)한정된 기회를 자기 것으로 만들려면 배트를 많이 휘둘러야 해

:물론 때론 크게 헛스윙을 할때도 있을거지만,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 헛스윙이 무서워서 가만히 있지. 하지만 성공하는 사람들은 베트를 많이 휘둘러야 맞힐 수 있다는 걸 본능적으로 알아.

2)젊은이, “우리에게는 실패할 권리가 있다” 

도전이 늦어지면 실패를 만회할 기회가 적어진다는 것. 나이가 든 뒤에는 부자가 될 기회가 점점 줄어듦.

 

*부채 – 재료 / 금리 = 조달비용

-부채에 대해 반감이 아직도 있는 초짜라, 금리이율이 조달비용임을 인지하는 연습을 해야 해야 겠다~!

즉, ‘지불하는 사람’이 있다는 건 ‘받는 사람’이 있다는 걸 의미하네

빚은 돈을 배우느데 있어 아주 좋은 재료니까

 

돈을 계속 소유할 수 있는 사람은 없어

가치는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이지.

사용가치는 개인의 가치관이 담긴 물건

교환가치는 시장에 내놓았을 때 가격이 붙는 물건.

=> 그런데 부자라고 불리는 인종들은 이 가치를 분별한느 눈이 있어. 이 눈이야말로 부자와 빈자를 나누는 능력이 되지. 지금은 가격이 낮아도 가치만 있으면 언젠가격은 상승하기 마련이거든.

가치를 분별하는 힘이란, 상대방이나 물건을 신용할 수 있는지를 분별하는 힘을 의미해. (=안과 밖)

내가 신용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방니나 물건을 믿을 수 있는지 분별하는 힘도 중요하거든.
 


**실패한 경험도 ok! but. 스스로 곰곰이 생각하고 실행한 경험이 중요하지

==> 그사람의 과거, 즉 ‘어떻게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고 결과를 내왔는냐’가 중요하지..

--> 내가 투자에 대한 평상시의 생각과 그 생각에 따른 결과물을 하나하나 만들었 던 것이 있었나? 생각하게 하는 글이였다...

 

오판 + 오만 [돈만 좆다가 놓친 것은 없는가?  유리공과의 관계]

p163. 솔직히 당시의 나는 딸 문제는 팽개치고 내 사업의 재미에만 푹 빠져 있던건 아닐까. 하지만 자네가 애당초 왜 사업을 시작하려고 했는지를 돌이켜볼 필요는 있었을 거야.

톱니바퀴가 한 번 어긋나기 시작하면 파멸은 정말 순식간 

- 돈에 대한 올바른 생각을 위해 끊임없이, 다듬어야 하고 ‘만약에’의 세계는 알 수 없음으로 가상에 집착하지 않기

 

돈은 그만한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 모여든다네. 10억원이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는 10억원. 1억원의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는 1억원이 모이게 돼

돈은 반드시 다른 사람이 가져온다고 했네. 돈은 세상의 순환하는 흐름과도 같아. 흘러가는 물을 일시적으로는 소유할 수 있어도 그걸 언제까지나 소유하지는 못하는 법이지. 그래서 부자라는 인종은 돈을 반드시 누군가에게 맡기거나 빌려주거나 투자하려고 들어. 그때 누구를 선택 하는냐가 관건이다

  1. 만약 내가 부자라면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내가 부자의 선택을 받을수 있는 그릇과 신용도가 되는가? 에 대한 물음을 생각게 한다.

 

[자네는 언제까지 돈에 지배 당 할 셈인가?!]

 

‘돈이란. 신용을 가시화한 것이다’

돈은 신용이 있는 사람에게만 전달된다. 그리고 신용이 높으면 그만큼 많은 돈이 ‘기회’라는 얼굴로 접근한다

신용은 지난 행동들의 결과이고, 지난 행동은 하루하루 사고해 온 결과다.
 

 

누구나 평생 함께 어울리는 돈.

의무교육을 통해 쉽게 배우지 못하는 돈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깨치는 것이, 우리 인생을 여유롭게 만들어 줄 뿐 아니라 더 나은 인격을 만들어준다.

: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5월 너나위 추천도서 바로 보러가기

 


댓글


프리다요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