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이치코리아(RHK)
3. 읽은 날짜: 2025.9.10 ~ 14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 책 속 한 문장 :
몰입은 우리가 쓰레기통에 던져 놓았던 먼지 낀 시간들을 순도 100%의 황금빛 삶으로 바꾸어 놓을 것입니다.
★ 핵심키워드 :
#Think Hard #천천히 생각하기 #행복
# 몰입적인 사고를 오랫동안 하다보면 사고력이 놀라울 정도로 발달하게 된다. 바둑에 비유하자면 수읽기가 발달하는 것과 비슷하다.
# 무엇인가를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은 언젠가는 그 목표를 반드시 이루고야 만다.
# 놀랍게도 몰입에 의한 즐거움은 우울함이 남지 않는다. 즉, 몰입상태의 쾌감은 우울과 교차되는 감정이 아니라 기복없이 기분좋은 상태만 계속 유지되기에 더욱 특별한 것이다.
#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시간이 문제이지 결국은 풀 수 있다. 매일 기적같은 깨달음과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다.
# 몰입적 사고를 오랫동안 경험하면서 내가 알게된 사실은 아이디어는 잠이 들 때 잘 떠오른다는 것이다. 수면상태에서는 고도로 활성화된 장기기억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활용할 의식이 없다. 몰입상태에서는 잠을 자면서도 주어진 문제를 풀려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고, 이것이 고도로 활성화된 장기기억에 작용하여 놀라운 문제해결 능력과 수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 수면중에는 낮에 경험한 것을 해마에서 재정리하고 통합한다고 알려져있다. 즉 해마에서 기존의 다른 기억과 관련성을 검토하고 중요한 경험을 장기기억으로 보내 기억할 수 있게 하며 중요하지 않은 경험은 잊어버리게 하는것이다. 기준은 정보가 입력될 때의 감정의 강도와 정보의 반복 횟수이다.
#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오늘 하루 내가 한 일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활동은 얼마나 가치있는 것이었나?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이 질문이 바로 스스로 몰입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 활동 위주의 몰입은 사고 위주의 몰입에 비해 난이도가 낮고 피드백이 빠르다. 몰입이 쉽게 되는 게임, 도박, 운동 등은 성공과 실패의 결과도 빠르게 알 수 있고, 난이도 면에서도 평범한 개인이 특별한 지식이나 노력없이도 도전해볼 만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반면 사고 위주의 몰입은 좀체 피드백을 얻기가 어렵다. 계속해서 생각해도 해결책은 묘연하다. 그래서 더 어렵다. 사고 위주의 몰입은 어렵기는 하지만 일단 들어가기만 하면 아주 작은 노력만으로도 이 상태를 장기간, 혹은 거의 무제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육체적 노동에 의한 피로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몰입에 이르는 다섯 단계
1) 생각하기 연습 :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해 20분간, 하루 5회, 2주 이상 연습
2) 천천히 생각하기 :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해 2시간 동안 생각하기, 하루 한번, 2주 동안 연습
3) 최상의 컨디션 유지 : 좋아하는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1시간 이상하고,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해 매일 2시간 생각, 일요일은 하루 종일 생각하기
4) 두뇌활동의 극대화 :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해 7일간 생각하기(고도의 몰입 체험)
5) 가치관의 변화 : 한 달 이상의 지속적인 몰입 체험
사람은 목적이나 동기에 따라 무한한 가능성을 발현할 수 있느 존재이며, 책에는 정말 다양한 성공 방법이 나와있다. 그 방법들을 꾸준히 실천하여 내 것으로 만드느냐, 아니면 그냥 그저그런 남의 성공담으로 여기느냐는 스스로에게 달렸다. 이 책은 이런 생각에 대해 다시금 확신하게 해주는 책이었다. 여전히 감정적으로는 와닿지 않는 부분들이 존재하지만, 이성적인 사고를 했을 때에는 삶에 적용해야 하는 것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몰입은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껴지는 어떤 대상이 운명처럼 나타나야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왜 내게는 그런 것이 없는지 모르겠다는 푸념만 했다.
하지만, 저자는 몰입의 대상은 ‘원하는 대상’만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어떤 대상’도 몰입하고자 마음을 먹고 중요한 일이라고 반복해서 생각하면, 정말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몰입할만한 가치가 충분한 일로 여겨진다고 했다.
결국 주어진 환경에 의한 수동적인 태도보다, 스스로 어떤 것을 하고자 하는 의지, 동기, 확신, 시도, 믿음.. 이런 것들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하면 경제적자유
+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몰입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보아야 겠다.
p.67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p.125
몰입은 의식이 경험으로 꽉 차 있는 상태다. 이때 각각의 경험은 서로 조화를 이룬다. 느끼는 것, 바라는 것, 생각하는 것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다.
p141
실패한 한 달 뒤에는 그 다음 달이 있고, 실패한 한 해 뒤에는 그 다음 해가 있지만, 실패한 인생 뒤에는 그 다음 인생이 없기 때문에 위로 받을 방법이 없다.
p181
머리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저 그런 연구 결과밖에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른바 ‘Work Hard’의 패러다임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탄 것이다.
p194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려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p250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몰입을 시도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라는 물음보다는 ‘왜 그렇게 되는가?’하는 물음이 훨씬 더 절실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대체로 ‘왜’에 대한 답은 한 가지 원인으로 생각을 집중시켜서 수렴적 사고를 유도하지만, ‘어떻게’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 두어, 집중을 분산시키는 발산적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몰입을 시도하는 초기에는 ‘왜’라는 형식의 물음으로 문제를 선정한다. 그러고 나서 몰입 상태에 들어간 뒤에는 ‘어떻게’라는 분산적 사고에 관한 문제를 다루어도 몰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몰입의 장점을 투자공부/활동으로 가져와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럭셔리초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