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반스쿨 기초반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저는 현재 수원 권선구 당수지구의 신혼희망타운 분양 받아 거주 중입니다.
23년 여름에 입주했고 생애최초주택 취득세 감면 혜택 받아서 입주 후 3년 동안 매매가 금지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26년 여름까지 매매 불가)
원리금 이율이 매우 낮고
집값이 뛸 경우 조건에 따라 수익 공유도 해야하는 집이라 언젠간 집값이 오르겠지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2026~2027년에는 이사 생각이 있지만 이 집은 팔지 않고 전세로 가려고 했습니다.
(영통으로 가려고 했는데 1주택자는 전세 2억만 나온다니 매매해야 할 것 같네요)
그런데 강의를 듣고 보니 이 집이 저가치의 기준에 너무나 부합하고 있어서 매매하고 갈아타기를 고려 중입니다.
다만, 제가 아직 초보라 저가치의 판단이 확실할지 확신이 서지 않네요.
<저가치 판단 사유>
신축이라 아직 매매 거래는 없고 월세나 전세 매물만 나온 상태입니다.
이 상태라면 계속 가지고 있는 게 제게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이제라도 깨달았으니 매도 후 갈아타기를 위한 준비를 해야할까요..(앞마당 만들고 이사할 단지 비교평가 준비)
a. 저가치이니 내년에 매도하고 이사 추천
(주변에 공급이 많아서 매도가 될지도 걱정…)
b. 저가치 판단은 섣부르니 존버 추천
선배님들의 선구안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급하게 결정할 계획 없고 참고만 하겠습니다.
마구마구 의견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텐테니님 :)) 하하옷이라고 합니다. 생애 첫 집 마련 후, 신혼집이 혹시 저가치일까? 하는 걱정과 함께 더 좋은 단지로 갈아타기를 해야 할지 혹은 이 집에 머물어야 할지 고민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 Q&A 게시판에서 내가 가진 단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으셔도 그 뒤에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어려움이 있으실 것 같은데요. 저라면, '투자코칭'을 통해 내가 가진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확인하고 자산을 키우기 위해서 내가 지금 매도나 갈아타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멘토님들께 제대로 배우고 움직일 것 같습니다. 텐테니님이 물건에 대해 고민해보고 글에 작성하신 것에 더해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행동에 더 확신이 생기실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열기반 종강 이후 내집마련반, 서울투자기초반 등 수업을 들으시면서 가치 있는 단지를 고르는 눈을 길러나가시면 더욱 좋은 투자자가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고민의 끝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텐테니님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우선 매도 후에 더 나은 단지로 갈아타기를 한다고 했을때 지금보다 스스로 더 나은 단지다라고 생각하고 보유 했을때 마음이 편할 수 있는 단지를 찾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가치 판단 기준을 배우고 , 적용해서 아는 지역과 단지를 늘려서 매도 했을 때에 , 갈 수 있는 후보들을 찾아보고 매도 가격의 기준이나 , 이후의 매수 결정을 내리면 좋을 것 같은데요, 만약 이부분에 대해서 지금 자산 현황에 맞는 갈아타기 방향이나 고려해야할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투자코칭을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텐테니님 안녕하세요. 실거주를 옮겨 거주지를 옮기는 것은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실제 내가 살곳이고 가족들의 삶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죠. 현재 거주중인곳이 저가치라고 하여 무조건 내년에 이주한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지금부터 아시는 지역을 하나씩 늘리면서 움직일 수 있는 지역 리스트를 만들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직장과 환경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어느곳으로 이동하는것이 좋을지 생각해보시고 실거주를 할지 투자로 생각할지도 고려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새로운 지역으로 갈아타기를 할 때 중요한 것은 움직일 곳이 명확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움직일 지역이 정해지지 않았는데 매도를 먼저 생각하시는것은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하니 차근차근 아시는 지역을 늘리면서 계획을 세워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꾸준히 활동하시어 좋은 투자 하시길 응원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