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열반스쿨 기초반강의 2강은
너바나님의
‘부동산 투자 원칙과 부동산 가치 판단법’
에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인상깊은 점, 적용할 점을 위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2005~2025년까지 10년을 주기로
서울의 평당 전세가 변화를 보면 10년에 2배씩 오른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가 만약 전세가 5억가량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10년후에는 가지고 있기만 해도
2배가량의 전세가 상승을 통해
월급과 별개인 추가 소득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입지요소는 직장, 교통, 학군,,,,
이라는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는 요소들이고
재개발이라는 것도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긴 하지만
그저 호재라는 생각에 단지의 가치판단요소로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서울 수도권은 빈땅이 부족하고
좋은 땅일수록 재개발, 재건축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용적률과 같은 개념도 신경써서 봐야겠다는 것을
이번 2강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1만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1만시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월닷의 뉴 목실감을 사용하고나서부터 시간가계부를 작성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저는 하루 24시간중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투자시간을 모르는채로
살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ㅠㅠ
안돼!!
실력은 재능*노력(시간),
성과는 실력*열정(시간) 입니다.
느슨해진 투자생활에
다시한번 시간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투자시간 인풋의 양과 질을 늘리겠습니다.
현재 부동산 투자판에 뛰어든지 얼마안된
저의 투자 리스크는
바로 나 자신입니다.
조급함으로 투자수익을 기다리지 못하고
기준에 맞지않는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무지에서 벗어나기위해
반복해서 학습해야 합니다.
독서, 칼럼 등
앞서 먼저 투자의 길을 걷고 계신 분들의 글을 읽으며
부자그릇을 키워야하고,
기준에맞는 투자를 하기위해
의식적으로 프로세스에 맞추어 투자하는 것을 연습함으로써
기준에 맞는 투자하기를 연습해야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