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열중 47기 45조 콩레미] 초급부터 고급까지 아우르는 잔쟈니 멘토님의 비교평가 전략

25.09.22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안녕하세요 콩레미입니다.

잔쟈니 멘토님의 비교평가 강의를 듣고 적용할 점을 남겨보고자합니다.

 

들으면서 기초반에서도 이렇게 자세한 내용을 알려주시는구나 감탄하였고,

이를 결국 내 투자에 적용해보아야 내 것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비교평가를 할 때에는 가치를 알고, 가격을 알고 이를 비교하게 됩니다.

다만 가격은 명확하기도 하고 변하기도 하는 특성이 있는데요. 

네이버 부동산만 들어가면 알 수 있는 내용이니 

투자자는 ‘가치’에 더 집중해야함을 시작부터 확실히 짚고 넘어가주셔서 좋았습니다.

 

  1. 지역의 핵심 가치를 파악하자.

    이번 강의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한가지라고 생각됩니다.

    임장보고서를 쓸 때 생활권마다 선호 요소를 파악하곤 하는데요.

    사실 저도 쓰다보면 연식인지, 역세권인지.. 2~3가지를 한번에 파악하려들었던 것 같습니다.

    핵심가치 단 하나만 파악해도 된다는것!

    그리고 지역 내에서도 핵심가치는 생활권마다 달라질 수 있다는 것 ! (평남과 평북 사례)

    핵심 가치는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딱 하나만 남기고 그 다음 실력이 더 쌓였을 때 하나 정도 더 보려 합니다.

 

2. 직장교통환경학군 등 입지 요소를 VS로 평가할때에는 핵심가치가 우선순위다!

 

입지 요소를 주루룩 띄워놓고 얘가 역세권이라서 교통은 좋은데.. 환경은 여기가 더좋고 빙글빙글 머리가 돌았던 경험 저만 있는 것은 아닐겁니다. 

사실 지금도 어렴풋이 교통이 중요한 곳에서는 역세권의 가치를 더 높게주고, 교통이 비슷한 경우에는 환경의 가치를 보며 우선순위대로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비교평가를 하면서도 마지막에는 다시 한 번 더 헷갈리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저의 생각의 흐름을 확실히 정리해두지 못해서 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비교평가를 할 때에 줄글로만 늘어트리는 것이 아닌 교안처럼 눈으로 볼 수 있게 확실히 입지 요소를 적고, 체크표시를 하며 해보려합니다!

 

3. 물건별 비교평가는 비용이 얼마나 드는가로 판단하기

 

지역내, 지역간 비교평가를 단계를 거쳐 물건별 비교평가를 할 때에는 비용이 얼마나 드는가로 판단한다.

수리 상태나 대출 필요 여부를 파악하고 그 비용을 내가 감당가능한가를 봐야한다

이 부분에서는 월세 물건에 대한 관점이 변화할 수 있었던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월세 물건을 단순히 투자금이 많이 드는 것으로 생각하여 물건을 봐도 깊게 찌르지 못하거나, 아예 물건을 보지 않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월세 물건을 어떻게 투자하기 좋은 상황으로 만들 수 있는지 방법을 알게 되어 매물에 제약을 두면 안되는 구나,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더 깊게 생각해봐야하는구나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댓글


콩레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