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09-25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 관리에서 온다.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 참 많았구나. 그리고 고정관념이 생기고 그것을 없애기 위한 노력도 곁 들어야
한다.
평등이란 정의와 인권의 측면에서는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 있는 이상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결과가 존재하는 현실 세계에서는 평등한 것이란 없다. 평등이란 거짓이다. 이것을 첫 번째로 이해하는 것이 곧 모든 훌륭한 의사 결정의 기반이 된다.
=> 평등이 필요한 사항이긴 하지만 이 세상은 원래 평등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한 명확한 공식이 없다 보니 선제적 대응을 하지 못하고 언제나 익숙하고 편안한 방식을 찾게 된다. 그래서 성공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방법을 무턱대고 선택하게 된다.
=> 나만의 공식이 필요한 시기이다. 나만의 공식이 없으면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발전이 없는 것이다.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그래서 모든 일을 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두 가지 일을, 아니 세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한다.
=> 모든 일을 다 할려고 하니까 시간이 부족하다. 정말 중요한 원씽을 하는게 키포인트. 나머지는 쳐내라.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습관을 만들자. 단거리 경주에서 하는 것 처럼.
성공을 이루는 비결은 올바른 습관을 선택하고 그것을 확립하기에 필요한 수준만큼의 통제력을 갖추는 것이다. 그게 전부다. 이 습관이 삶의 일부가 되면 당신도 남의 눈에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처럼 보이겠지만 당신 스스로는 그 일을 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 올바른 습관 셋업, 그리고 체득해야할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됨. 그때부터는 자연스럽게 진행이 된다.
그렇다면 의지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관리해야 할까? 의지력에 대해 생각하고, 주의를 기울여라.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 이왕이면 새벽, 오전 중에 중요한 일을 처리하는게 좋을 듯 하다.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 이게 삶의 균형 이란게 중요하지 않는 이유이다. 평범하게 살고 싶다면 균형된 삷을 살면 되지만, 뭔가를 이루고 싶어하는 사람은 균형있는 삶을 추구하면 안된다. 극단으로 가야 목표 달성이라는 꿀열매를 맛볼수 있을 것이다.
=> 크다. 위대하다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자. 큰 삶을 추구하자. 나도 위대해 질 수 있는 사람이다.
=> 시작의 중요성. 시작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 무라도 자른다는 기분으로 고고.
1.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2. “그 일을 함으로써”
3.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작은 초점 질문: “지금 당장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아침에 일어났을 때, 그리고 하루 일과 내내 이 질문을 사용하라.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필요할 때마다 스스로에게 이 질문을 던진다면 해야 할 일에서 첫 번째 도미노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편안한 곳에서는 발전이 없다. 컴포트존 밖에 있어야 한다. 내가 원하는 답을 듣고 싶다면.
=> 목표 수립 순서다.
=> 시간은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하다. 하지만 결과값이 다른 이유는 뭘까? 이유는 간단하다. 각자 시간을 어떻게 사
용하느냐에 따라 다를것이다. 극단으로 밀어붙여보자.
=> 사람들은 대부분 위인들의 결과만을 본다. 그 이면에 있는 그들의 노력을 간과한다. 결국 그 결과는 노력의 산물
인것을. 미켈란젤로도 많은 노력을 해서 위대한 산물을 만들었는데 일반인들은 그 노력도 안하고 성공하기를 바라
는 것은 참으로 이기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1. ‘아니오’(No)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4.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 이게 삶의 균형 이란게 중요하지 않는 이유이다. 평범하게 살고 싶다면 균형된 삷을 살면 되지만, 뭔가를 이루고
싶어하는 사람은 균형있는 삶을 추구하면 안된다. 극단으로 가야 목표 달성이라는 꿀열매를 맛볼수 있을 것이다.
댓글
싸우나 aka 베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