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행복한 투자자로 성장해 나가자!

25.09.28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주우이님의 사례 중심의 강의는 내가 궁금했던 질문에 대한 답을 명쾌하게 들을 수 있어 좋았다.

전반적으로 열중반 자체가 ‘실전반’에서 들을 수 있는 수준 높은 강의라는 조원들의 평가에

더더욱 유익했다.

완강을 했기에 잠시 휴강해뒀다가, 시험 끝나고 10월 말 즈음 다시 한번 찬찬히 재수강을 해보려 한다.

 

투자에는 냉정함을 유지해야 한다.

수도권 기준 모든 아파트는 언젠가 전고점 넘는다.

 

요즘같은 시기를 보면 2017년 느낌이 개인적으로 든다. 

조급할 수록 조급하게 결정하지 말고, 저환수원리를 잊지 말자.


저환수원리: 저가격 환금성 수익성 원금보존 리스크!!
1. 같은 매매가 갖고 있는 아파트 중에 가장 좋은가?
2. 동일한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아파트 중 가장 좋은가?

 

*수리비용

24평 수리: 1500~2000만원
30평대: 2300~2500만원

 

*용적률

용적률이 낮으면 비싸다.

용적률: 대지 면적 대비 건물 전체 연면적(건물의 모든 층의 바닥 면적을 합친 것)의 비율

용적률이 높을수록 더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어 수익성이 증가하지만,

주거 밀도가 높아져 생활환경이 혼잡해질 수 있다.

반면, 용적률이 낮으면 저층 건물이 많은 한적하고 여유로운 주거 환경이 조성됨.

주거지역은 보통 100~250%이다.

용적률 200% 미만 지역은 재건축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함. 현재 용적률이 낮은 지역이라면, 향후 용적률 상향 가능성이 존재해 개발 시 가치가 커질 수 있음. (ex. 현재 용적률 100% → 앞으로 200%까지 상향 가능성 있으면, 건물 더 높이 지어 개발 가치 상승)

 

건폐율: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이 차지하는 바닥 면적의 비율. 즉, 내 땅에 건물을 가로로 얼마나 지을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수치. 건폐율이 높은

 

* 구축vs신축을 고민할 때는 ‘입지’를 산다고 생각해야 한다.
오래된 아파트더라도 계속 올랐던 것 >>> 땅의 가치가 높은 것을 투자한다.

 

- 소규모단지: 연식+입지가 중요

- 그중에서도 세대수가 많고, 주변에 아파트로 둘러싸여있는 곳을 선택해야함
 

현실적인 앞마당 관리법(ppt 4강 참고)
관심있는 지역, 단지를 매일 본다>> 매매가격 추이를 파악 가능.☆


현실적인 앞마당 관리법 4개 all 체크
전세낀 매물만 찾으려하면 어렵다. 물건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다
투자를 할거라면 자주 방문, 연락을 통해 매수할거란 확신을 심어줘라

 

 

<나의 10월 원씽 : 시세트래킹 >

 

 

 


댓글


탕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