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너나위, 용용맘맘맘, 코크드림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피엔스입니다.
너나위 멘토님의 내마기 1강 후기 작성하였습니다.
마지막 天助自助라는 말을 남겨주시면서
의지가 더 북돋아지는 것 같네요ㅎㅎ
이번 강의도 너무 좋았고
각 종잣돈과 저축금액 별로 시나리오를 보여주시면서
꿈의 아파트로 닿아가는 과정이 더 쉽게 시각화 된 것 같아요.
아래는 강의를 통해 배운 점과 느낀 점
휘발되기 전에 남겨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집 마련 시기
📌전망이 안 좋은 때(하락기)가 내집마련 적기
✔단기 미래 예측하려하면 의사결정 불가능 →1, 2년이 아니라 5, 10년 뒤를 보고 의사결정
✔단기적으로는 집값을 예상할 수없지만 장기적(10년이상)으로는 내가 산 가격보다는 높아진다!
📌서울 아파트 평균 PIR 12.1, 평균 전세가율 56.8%(2008.12~)
✔저렴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기 1) PIR 12이하, 2)전세가율 60%이상
✔일부 지역은 평균 PIR 이상이나 싼 곳도 있음.
📌원인(금리, 공급, 기타환경)과 결과(가격)
✔금리 = 돈값, 금리인하기에는 아파트가 풀린 돈 흡수.
✔공급에 따라 전세가에 영향을 주고 텀을 두고 매매가에도 영향
✔정책 - 침체기 → 완화 정책, 폭등기 → 규제 정책
내 집 마련 범위
📌21년 이후 인구가 줄어들고 있음(2022년 5200만명 → 2070년 3800만명, 27%감소)
✔인구 감소가 되면 양극화 심화. 국내 아파트 비중 61%로 아파트 위주 선별해서 사야함.
✔지방 구축 아파트 조심해야함. 서울이나 서울 근방 경기도는 괜찮음.
성공한 부동산 투자자 멘토로 정해 따라하기
📌상황에 맞는 집 마련(교통 우선)
📌저축률 유지
📌시장에 떠나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 두고 공부하기.
📌기회가 왔을 때 실행하기
✔금리 = 돈값, 금리인하기에는 아파트가 풀린 돈 흡수.
✔공급에 따라 전세가에 영향을 주고 텀을 두고 매매가에도 영향
✔정책 - 침체기 → 완화 정책, 폭등기 → 규제 정책
댓글
꿈꾸는사피엔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