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릿(Grit) 독서후기
그릿(Grit)에서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은 재능이 아니라 열정과 끈기의 결합임을 강조하고.
이를 “그릿(Grit)”이라고 정의하며, “성공은 지능이나 재능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노력하는 힘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다양한 연구와 사례를 통해 보여줍니다
“열정과 끈기를 합친 그릿은 장기적인 성취의 핵심이다.”
“재능은 당신이 얼마나 빨리 기술을 향상시키는가를 결정하지만, 노력은 당신이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뛰어난 성과를 낸 사람들은 남들보다 특별히 똑똑하거나 재능이 많기보다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기술(skill) = 재능 * 노력, 성취(achievement) = 기술 * 노력
재능, 노력, 성취 사이의 관계를 공식으로 설명한 것을 보면 노력은 두 번 들어가며, 노력이야말로 재능을 성과로 전환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
그릿의 한 축은 열정이다. 순간적인 흥분이나 일시적인 관심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 방향으로 지속되는 몰입”을 의미한다. 위대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짧게 반짝하지 않고, 한 가지 목표를 향해 수년, 수십 년을 달려간다 또 다른 축은 끈기다. 이는 어려움이나 실패 앞에서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 태도다. “실패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며, 단지 학습의 일부일 뿐이다”라고 말한다. 그릿을 가진 사람들은 좌절 속에서도 교훈을 얻고, 다시 시도하며, 목표를 향해 끝까지 나아간다.
그릿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으로 기를 수 있다고 말한다.
관심(Interest): 자신이 진정으로 좋아하고 흥미 있는 것을 발견하고 몰두한다.
연습(Practice):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의도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연습을 지속한다.
목적(Purpose): 자신이 하는 일이 타인이나 사회에 의미 있는 기여와 연결되도록 한다.
희망(Hope): 어려움 속에서도 개선 가능성을 믿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노력과 학습을 통해 능력은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사람일수록 쉽게 포기하지 않고,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인다. 이 태도가 결국 그릿을 강화한다.
『그릿』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지속적인 열정과 끈기야말로 위대한 성취를 가능하게 한다.”
“노력은 재능보다 두 배 더 중요하다.”
성공은 타고난 재능의 선물이 아니라, 장기간 이어지는 몰입과 끈기의 결과다. 따라서 목표를 명확히 하고, 꾸준히 연습하며, 어려움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릿은 단순한 성격 특성이 아니라, 누구나 기를 수 있는 삶의 태도다. 열반스쿨 기초반에서 세운 나의 목표를 위해 『그릿』해 지길 다짐한다.
댓글
진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