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어느덧 벌써 3회차 지투기를 수강하면서 감회가 새로웠습니다,
강의 수강내용을 올 곧이 이해하지 못하고,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과거가 스쳐가며,
이제는 어느 정도 튜터님의 말씀을 공감하려 노력하고, 이해되는 부분이 그래도 조금은 많은 시간을 발 담그고 있었구나 싶었습니다.
지방투자 과정들을 A to Z까지 뿌셔주신 존경하는 우리 유디튜터님,
수강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A지역이 벌써 눈에 그려지는 이 마법,
1.지방이라는 입지 기준과 핵심 키워드를 잡는 방법에 대해서 다시 한번 각인 시키는 기회가 됫었습니다.
수도권과는 다르게 봐야 되는 시야에서 다시 끔 배우는 계기가 되었고,
인상 깊었던 부분은 투자자라면 한번 더 파고 들어가는 부분이였습니다,
학군과 환경이 중요시 되는 광역시에서 핵심 키워드를 잡기 위한 가설과 검증 부분이였습니다.
해당 검증을 통해서 지역 가치의 핵심을 찾아볼 수 있음으로 ‘확신’을 가질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하여 임장지 B지역에 적용해 보려고 합니다.
2.인구=곧 수요 But, 모두 그렇지는 않다.
많이 들었지만, 항상 띠용?하는 내용 이였습니다.
인구수가 줄어 지방은 투자 못 하는거 아니에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내용이자,
저도 차도 지방,,, 가능할까? 라는 마음의 질문 이였는데요,
그럴 수록 선호도를 더 뾰족하게 봐야 된다는 것입니다.
인구가 큰 틀에서 보조 지표가 될 수 는 있지만, 결국은 단지vs단지의 싸움이기에 같은 조건일 때
지표를 보는 것. 이라는 포인트 였습니다.
3.너무나도 정직한 지방 공급
역설적이지만 수도권과는 다르게 지방은 공급의 정직한 시세를 보여주고 있었는데요!
A지역의 공급=시세=미분양율을 통해서 공급과 가격의 정직함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공급은 매수에도 영향을 주지만, 보유와 매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표라는것을 한번 더 깨닫게 되는 계기였습니다. 또한 A지역을 오픈북으로 활용해 봄으로써 해당 임장지에 적용해보라는 말씀에 스터디 해보려고 합니다.
또한 광역시는 화끈하게 전세가가 팍팍 튀어 오르는 시장으로 한 개의 단지만 잡고 있으면 조급해지기 마련이라는 점 이였는데요! 후순위 단지를 잡고 있음으로써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말씀 또한 중요한 부분 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