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너바나, 너나위, 주우이님 강의를 듣고 입지분석을 여러가지 해보고 있습니다.
그 중 두개 아파트에 대해 왜 이렇게 가격 차이가 많이 났던건지 궁금해서 여쭤보려고 합니다
하남시 덕풍서해 vs 노원구 월계주공2단지
1. 덕풍서해(24평)
1) 연식 : 30년
2) 세대수 : 423 / 용적률 365%
3) 직장 (B)
① 하남시 종사자수 113,692명
② 하남시 사업체수 32,386개
4) 교통 (A)
① 강남까지 소요시간 : 51분
+ 버스타면 3번 환승해야함, 지하철타도 3번 환승해야함, 지하철역까지 도보 15분
② 부도심까지 소요시간 : 70분
+ 시청역까지 소요시간 계산함
5) 환경 (B)
① 반경 1km 이내 백화점 없음
② 반경 1km 이내 대형마트 1개
6) 학군 (C)
① 동부중학교 학업성취도평가 72.5%
7) 공급 (S)
① 하남시 인구수 330,674명
② 하남시 향후 3년 연평균 공급물량 : 0개
직장 / 교통 / 환경 / 학군 / 공급 : B / A / B / C / S
2. 월계주공2단지 (24평)
1) 연식 : 34년
2) 세대수 : 2002 / 용적률 227%
3) 직장 (B)
① 노원구 종사자수 133,398명
② 노원구 사업체수 37,909개
4) 교통 (A)
① 강남까지 소요시간 : 49분
+ 버스타면 2번 환승하면 됨, 지하철 타면 3번 환승해야함, 지하철역까지 도보 15분
② 부도심까지 소요시간 : 40분
5) 환경 (B)
① 반경 1km 이내 백화점 없음
② 반경 1km 이내 대형마트 2개
6) 학군 (C)
① 염광중학교 학업성취도평가 74.1%
7) 공급 (S)
① 노원구 인구수 492,612명
② 노원구 향후 3년 연평균 공급물량 394개
직장 / 교통 / 환경 / 학군 / 공급 : B / A / B / C / S
입지분석 결과 비슷하다고 보여지는데 왜 이렇게 과거 상승장 때 가격이 크게 벌어졌을까요?
평형은 동일하고 연식도 4년차이면 거의 비슷하다고 봤습니다
굳이굳이 차이를 꼽아보자면
1) 월계주공의 세대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용적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
2) 강남까지 가는데 월계주공에서는 환승 두번만으로 갈 수 있다는점
3) 인근 대형마트가 2개 있다는 점
말고는 저런 가격 상승 차이를 일으킬만한 요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단순히 제가 나열한 저런 차이들이 1억 수준의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었을까요?
혹시 어떤 요인이 있었을지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쭤보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하기나해님 :) 강남까지의 거리가 압도적으로 차이나지 않고 비슷하다면 강남 접근성 외에도 3대 업무지구인 도심이나 여의도까지의 거리도 함께 고려해야하고, 선호도, 주변 거주환경, 호재 등 여러가지 다양한 요소가 작용할 수 있다고 보여지고 또한 경기도와 서울이라는 행정구역상의 차이도 반영이 되었다고 생각하는데요^^ 두 단지가 얼만큼 차이가 나야하는지는 정답은 알 수 없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 할 수도 없기 때문에 같은 가격이면 혹은 같은 투자금이면 더 좋은 곳은 없을지를 다른 단지들을 좀 더 가져와서 생각해 볼 것 같아요~! 하기나해님 비교평가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하기나해님! 열심히 수업을 들으시고, 궁금한 점을 찾아내 이 게시판을 활용해 확인하는 열정에 넘 감동을 받았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이렇게 하니까 넘 재밌지 않나요 ㅎㅎ 여러가지면에서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는 그 안에 균질성인 부분도 볼것 같아요. 노원구는 우리가 생각했을 때 구축 단지들이 균질성있게 모여있는 곳으로 그 안에서 나름의 안정감이 있는 지역이기도 해요. 말씀해주신 것에 더해서 여러가지 요소들이 함께 모여서 그 안에서의 가치의 차이 선호의 차이를 만들어냈다고 생각해요. 더 궁금한거 있으면 대댓 달아주셔요 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