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마기 강의 후기(내집마련 원칙을 배운 후기)천조자조

25.10.04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1. 2014~2018때 집을 사기에 좋은 시기였다. PIR이 평균보다 낮은시기이었고 전세가율이 평균보다 높을때, 사람들이 집을 안샀을때 이때가 좋은 시기였다.    이때 ㅜㅜ 우리는 지금 강의에서의 하급지만 골라서 집을 샀다. 상급지를 대출을 조금만 해서 살수있었는데 대출을 하면 큰일이 나는 줄 알고 그렇게 산 집이 지금 발목을 잡고 있다. 

 

2. 위의 집들을 팔고 전고점 대비 비싸지 않은 집을 사야하는데 

   강의에서 보니 대출 40~50%를 해서 갈아타기를 하는 것으로 봤는데

   30-40대이면 대출 레버리지를 활용하는게 괜찮을 것 같은데 50-60대 은퇴시기를 앞두고는 대출을 저정도는 힘들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속상하다. 

   2016~2018년에 집을 살때 이 원리를 모르고 하급지들만 산 것이 후회가 너무 크다.

 

3. 위의 집들을 정리하고 입지가 좋은 곳의 빌라를 매수할까도 강의를 듣기 전에 생각했는데

    빌라는 사지 말라고 해서 한두단계 아래의 입지 중에서 아파트를 잘 골라 봐야겠다. 

 

4. 이번에 집을 바로 못사더라고 시장을 잘 보고

   - 전세가가 떨어질때/  부양책이 나와 전세사는게 유리해 보일때 / 금리가 높아질때  / 침체기가 올때 

     / 규제가 생길때 

    비싸지 않은 시점에서 집을 살수있도록 해야겠다. 대출을 제외하고 생각을 해야한다. 

 

5. 지금 갖고 있는 집을 지금 매도하는게 맞는지 궁금하다. (매도의 순위를 오프라인으로 물어보고 싶다.)

6. (정리) 내집마련 원칙-시기:   지금. 상승장에서의 규제가 있는 지금 시점.

                                             전고점 넘은 단지가 이전 실거래가 이하 가격으로 비싸지 않을때.

                                             전고점 넘지 않은 단지는 현재 가격이 좋은 가격(-10%정도면 좋은 가격)

             내집마련 원칙-범위:   수도권의 위치 좋은 아파트(교통>학군>환경.. 등), 광역시의 신축 아파트,

                                            서울에 붙어있는 경기도

                                            서울과 붙어있어도 강남과 가까운 곳 (과천>성남>안양>광명,하남,구리,부천,군포..)

                                                                  (김포와 고양시는 서울과 붙어있어도 서울중심부에서 너무 멀다.) 

 7. 강의를 들어보니 앞으로는 공급이 많이 줄어서  이전과 같은 양상. 즉 부동산 시장 사이클에 의해서 생기는 하락

    장은 힘들 것 같고  규제로 인한 기간이 짧은 하락장을 잘 이용해서 매수를 해야할 것 같다. 

    평소에 관심이 없었는데 관심을 지속적으로 갖고 있어야겠다.                                                                                      

                                                                        

 


댓글


파랑하양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