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항상 기쁜일이 가득해 행복한 기쁘어라입니다 ㅎ
긴 고민끝에 지방 임장을 가보리라 결심하고 들은 첫 지방투자기초반 강의였는데요
수도권과 다른 부분을 계속 짚어주시고 무엇보다 어디까지 투자해도 되는지 구체적인 기준을 알려주셔서 너무나 도움되었던 강의였습니다.
특히 제가 잘못생각하고 있었던 부분, 쪽집게 강의처럼 기억에 콕 박힌 부분이 많았습니다~!
1. 1주차 강의의 지역, 울산. 어떻게 봐야 할까?
울산은 상승 시작한지 2년이 된 지역으로 단지마다 얼마나 가격이 올렸고 안올랐고, 얼마나 올랐고를 통해
대구, 부산에 있는 아파트 매매 흐름이 어떻게 변할지 참고해볼 수 있는 오픈북이라는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2. 지방의 가치 요소는 무엇?
지방은 끝에서 끝까지 3~40분 내외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직주근접 보다는 학군, 환경 가치 요소를 더 우선시하여 아파트 가치판단해야한다고 하셨어요
특히 학군지역이라면 어디 초등학교, 어디 중학교 배정인지까지 자세히 살펴봐야겠습니다.
3. 수도권과 다른 인구의 중요성
인구수! 수도권에서는 크게 중요하게 보지 않았던 것 같은데 지방은 인구수가 곧 수요를 의미한다고 한다.
그룹핑을 해보자면
부산 327만 > 대구 236만 > 대전 144만 > 광주 141만 > 울산 110만 > 창원 100만 우선해 볼 것!
((인구수 50만 이상은 되는 지역들 우선해 볼 것~))
인구수가 더 많은 도시를 투자 우선순위로 보라고 하셨습니다. 비교할때도 광역시끼리 중소도시끼리 비교할 수 있겠습니다.
단 중소도시 가격이 많이 올라 광역시와 비슷하다면? 광역시 저평가를 판단할때 비교해볼 수 있다고 하셨어요
4. 지방의 투자, 매도 타이밍은 공급물량으로 판단할 것!
예릴 들어 지금 포항은 100만원이면 투자할 수 있지만 앞으로 공급 물량이 많기에 지금 투자하는 것보다
매매가 오르는걸 지쳐보고 들어가는게 유요하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지방은 2년뒤 매도하는걸 미리 생각하고 접근하라고 말이죠.
5. 지방 앞마당 어떤식으로 선택해 늘릴까?
좋은 구(평균 이상 선호도 입지) 덜 좋은 구(평균 이하 선호도 입지) 이렇게 2개 만들라고 하셨어요. 그래야 비교평가를 할 수 있으니까요~
항상 좋은 강의로 많이 알려주신 권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 임장보고서에 적용해보고 싶은 점
지역 공급 물량에 따른 매매, 전세가 흐름, 미분양 살펴보기
크게, 자세히. 매매/전세 매물 추이 봐보기
연식별, 매매가별, 입지별 단지 카테고리~!
댓글
기쁘어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