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돈독모]다큐프라임 자본주의 독서후기[Herbherb]

25.10.09

[돈독모] 자본주의 독서후기[Herbherb]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 도서 제목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안타깝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가가 내려갈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에 불과한 것이다.

 

 

-결국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니라 ‘돈을 창조하는 사회’라고 해야 보다 정확할 것이다.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나는 어릴 적부터 “빚은 절대 지면 안 된다”는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부모님은 집을 사실 때도 대출 없이 사셨고, 또 그것을 자랑스러워 하였고, 우리(나와 내 동생)에게는 돈을 꾸는 행위는 거의 죄를 짓는 것이라고 느끼게 교육하셨다.
그래서 대출은 물론이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크레디트 카드를 쓰는 것도 처음에는 죄책감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1장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를 읽으며, 내가 알고 있던 경제의 상식이 완전히 뒤집혔다.

은행이 대출을 통해 존재하지 않던 돈을 만들어내고, 그 신용이 사회를 움직인다는 사실은 충격이었다.
즉, 빚은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시스템의 엔진이었다.
이제서야 나는 왜 돈의 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돈이 계속 만들어지는 구조 속에서, 현금을 그대로 쥐고 있는 것은 결국 가치의 감소를 기다리는 일이었던 것이다.
그동안 ‘안정’이라고 생각했던 내 방식이 사실은 정체된 선택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다른 장들도 흥미로웠다.
2장은 금융상품의 위험을, 3장은 소비의 심리를, 4장과 5장은 위기와 복지의 문제를 다루며 자본주의의 여러 얼굴을 보여준다.
하지만 내게 가장 깊게 남은 건, 바로 이 1장에서의 ‘돈의 흐름’과 ‘빚의 의미’였다.

책이 흥미로워 다큐도 찾아 보았는데 역시 나에게는 1편이 제일 인상 깊었다.
이 책은 경제를 이해시키기보다,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바꾸게 한 책이었다.
 

 

 

✅ 나에게 적용할 점

 

이제 나는 빚을 무조건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으려 한다.
돈을 빌리는 것이 죄가 아니라, 그 구조를 모르는 것이 위험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돈을 모으는 사람’이 아니라 ‘돈의 흐름을 활용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즉, 단순히 절약하는 삶이 아니라, 배움과 경험을 통해 건전한 부채와 투자를 다룰 줄 아는 삶.
이것이 내가 이 책을 통해 얻게 된 가장 실질적이고 깊은 깨달음이다.

또한 새로운 것을 배워 가는 것이 계속 되야 한다는 것.

이것도 이 책을 보면서 얻은 진리이다. 

 

 

 

 


댓글


herb herb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