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방투자실전반 2강 후기

25.10.13

2강은 프메퍼 튜터님의 지방 비교평가를 통해 투자로 연결짓는 방법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지방투자에서 어려운 점은 각 지역마다 선호요인의 비중이 다르고 

광역시, 중소도시 등 인구 규모가 다른 지역끼리 비교해서 최종 후보단지를 뽑아내야 한다는 점 같습니다.

결국 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서는 지역 선호도를 명확히 아는 것에서 부터 시작되는데

앞마당을 만들 때 부터 분임과 단임, 매임을 통해 단지 간 비교를 해오는 과정들이 모여 선명한 선호도를 남기게 됩니다.

 

그간 지방임장을 꽤 해왔지만 단지마다 지역선호도,신축,환경 세가지 요소로 도식화하여

단지의 가치를 매기는 과정이 어렵다고 느껴져서 시도하지 못했는데

처음에 시간이 오래걸리더라도 정리를 한 번 해두면 추후 비교평가 시 더 수월하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기서 궁금했던 점은 내가 매긴 생활권 순위가 틀렸을 경우에는 지역 간 비교평가 할 때

결과가 잘못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 

이번에 분임,단임을 하면서도 구축 가성비 학군지를 선호하는 사람과

준신축 택지를 좋아하는 사람이 좀 갈려서 이런 경우에는 생활권 순위에서 등수가 달라지는데

추후 잘못된 투자 후보단지가 나오는 오류는 없을까 하는 의문점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또 강의를 들으면서 BM하고 싶었던 부분은 가설검증파트입니다.

임장지 단임을 하면서 메인 학군지는 아니지만 가성비로 찾을 만한 학군지인 

구축 택지도 투자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울산 사례를 보면서 앞으로 3년 간 공급이 씨가 마른 상황에서는 구축도 투자를 할 수 있겠단 생각은 했는데

신축 단지 입주도 많은 상황에서 다음 상승장에 이 단지가 내가 원하는 수익만큼 가져다 줄 수 있을까 …

20년차를 넘어가는 단지들을 보며 정말 최소의 투자금이 아니라면 들어가지 않겠다 싶었는데

이런 의문점들도 가설검증 과정을 통해 스스로 생각정리를 해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 외에도 BM하고 싶은 장표들이 수십개 정도 되었는데

매달 하나씩 적용하면 튜터님 정도로 비교평가의 달인이 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이 드는 강의였습니다.

진심을 다해 강의해주신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월부지니1
25.10.14 16:55

프멥퍼튜터님의 BM장표 잘 적용해보자구요 우리!!! 저도 우리 임장지에서 과연 학군지 애매 구축이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 함께 요모조모 뜯어봐요!!! 이번주 사임 제출 홧팅💛

프메퍼creator badge
25.10.18 11:58

춘식이님 BM장표 잘 적용해보면서 비교평가의 달인이 되시길 응원드립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