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순호입니다 :-)
이번 2주차 강의는 프메퍼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지방 투자의 경험이 많은 투자자이신 프메퍼 튜터님께서 본인의 경험담을 통해
어떻게 지방투자를 접근해야하는지 정리를 해서 알려주셨기 때문에
지방투자에서 시행착오를 많이 줄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방에서 비교평가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요, 이러한 비교평가는 지방에서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비교평가의 본질은 가치를 뚜렷하게 알고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방이던 서울이던 제대로 가치를 먼저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지방의 차이점은 서울만큼의 커다란 수요가 없기 때문에 수요의 크기를 파악할 줄 알아야하고
어떤 단지가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실력이 있어야하는데요.
메퍼 튜터님께서는 지방 투자에서 3대 선호 요소를 알려주셨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 기준을 꾸준히 적용해 나가는 연습을 해야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튜터님 말씀중에 기억이 나는 부분이 있는데,
단지의 가치를 평가할 때 어떠한 기준을 공식처럼 생각하지 말라는 부분이었습니다.
사실 이 질문은 저도 조원분들과 임장을 하다보면 공식에 대입해서 평가하려는 순간들을 느낍니다.
단지의 가치를 평가할 때는 개별적인 선호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공식을 대입하는 편리함을 지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전고점을 활용해서 비교하는 경향이 있는데, 제대로 된 가치평가 없이 일괄적인 그래프 비교만으로
이 단지가 좋네, 저 단지가 좋네 하는 맞지 않다고 하셨는데요.
가격을 붙여보면서 결론을 짓게 되면 가치파악이 정말 안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도 비교평가에 감을 잡지 못하는 시기에 그냥 이것저것 그래프를 붙여보면서 결론을 내렸던 적이 있었는데
어느 단지가 더 좋은지 머리속에 남는게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비교평가는 지역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단지가 가지는 수요의 크기 (왜 이 단지를 좋아하는지, 다른 단지와의 위상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가격은 적절하게 매겨졌는지, 환금성은 좋은 지 등)를 알고 있어야 비교평가가 된다는 것을 조금씩 배워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튜터님 강의 중에 적용해봐야겠다 생각한 부분은 가설 검증인데요, 이 순서를 잘 지켜서 한페이지만이라도 제대로 해보는게 이번 강의에서 반드시 BM해야 겠다 생각한 부분입니다.
튜터님은 첫수강이거나 재수강자 분들께 반드시 해야하는 action plan을 직접 알려주셨습니다.
지투를 여러번 들었지만 여전히 적용하지 못하고 (혹은 하지 않고)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번 임장, 임보시에 반드시 적용해야겠다 다짐을 합니다.
긴 시간 동안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신 튜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댓글
순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