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몽치입니다.
지투기 1강은 권유디님께서 지방투자 기준을 울산분석과 함께 진행해주셨습니다.
오랜만에 울산을 보니 전에 간단하게 임장하고 주위 학원가를 보던 생각이 나서 좋았습니다.
1. 지방투자 기준
이번 임장을 하면서도 그렇고, 연식이 지방에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고 마인드를 많이 바꾸는 중입니다.
수도권 위주로 자꾸 입지로 판단하려 하는것 같은데 이번 임장하고 단지 정리를 하다보니 그게 자꾸 안맞아서 답답했습니다.
확실히 입지요소를 보지만, 지방에서는 연식이 입지를 이기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입지가 아무리 좋더라도 가격이 비싸거나, 본연의 입지보다 가격이 쌀때만 투자한다는 것! 결국 가격이 중요하다는 본질을 생각해야겠습니다.
2. 울산 지역분석
울산에서 동구의 위상과 중구 내 생활권 위상들이 좀 헷갈렸습니다. 어떤 곳은 연식이 좋은데 택지가 아니라 위상이 떨어지고, 어떤 곳은 입지적으로 아쉬운데 돈이 많이 돌다보니 연식 좋은 것은 취급을 받고…
그래서 강의 중간중간에 멈추고 그래프를 붙여봤는데 약간은 알 것 같기도, 애매하기도 했습니다. 나중에 부산 앞마당을 좀 만들고 나면 울산 임장을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울산 GDP가 높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주요 기업들 소득이 높아 놀랐습니다. 부산은 주요 일자리도 부족한터라 그와 대비되는 울산이 더 돋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의 내내 칠판에 적어주신 1~5번 우선순위가 너무 좋았습니다. 딱 기준을 박아놓으니 앞서 헷갈렸던 부분들도 좀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투자금보다 더 우선순위로 선택을 해야된다거나, 전세가에 대한 고견을 잘 인지하겠습니다.
또한 알려주신 광역시 투자방법으로 이번 앞마당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몽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