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행복한 투자자가 되고싶은 쿼카엉니입니다.
언제나 어려운 아파트 비교 평가,
그중에서도 지방은 규모와 시장 흐름도 다르고
지역별 특징도 달라서 더 어렵게만 느껴지는데요.
튜터님이 알려주신대로 따라하면
나도 할 수 있겠는데?라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1. 지방투자 프로세스 제대로 알고
비교평가로 저평가된 투자단지를 선정한다.
도시규모>생활권순위>단지순위 순서대로 비교 후
어느 단지가 더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고,
같은 값이면 더 가치 있는 단지를
비슷한 가치라면 더 저렴한 물건을 선택한다!
순서대로 비교할 때 지역의 위상을 알고
분임을 통해 생활권 순위를
단임을 통해 단지선호도를 제대로 파악해야함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또한, 광역시와 중소도시, 59와 84, 구축과 신축
이런 두루뭉실한 비교 평가가 아닌
1:1 단지끼리 비교하는 연습을 해야겠습니다.
다만, 이때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가가투리!
가치 - 가격 - 투자금 - 리스크 순서대로 판단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넘어가야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임장과 임보를 통해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앞마당을 늘려 비교할 단지를 만들고
리스크를 판단해서 투자를 진행해야겠습니다.
#2. 뾰족한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한
모의투자와 가설검증을 반복하기.
당장 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투자 실력을 기르기 위해 매달 앞마당을 만들며
모의 투자를하고, 그 결과를 복기하며
지난 앞마당을 숙성시켜야함을 배웠습니다.
(아직 시세트래킹하는 것도 허덕이긴 하지만)
매달 투자적합 단지라 뽑았던 단지들 중
어디가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지 확인하면서
그 지역의 선호를 파악해보겠습니다.
그리고 가설 검증! 거창하게 들리긴 하지만
해당 임장지에서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
확인해보는 과정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검증한 결과를 현 시장에 적용하는 것까지
마무리하는 연습을 해야겠습니다.
#3. 만들어둔 앞마당을 숙성시켜 투자에 적용하기.
감사하게도 지난 7월 지방투자실전반을 수강하고
튜터님이 알려주신대로 앞마당 정리요약 장표와
5분위 시세표를 처음으로 작성해보았습니다.
한달동안 시세트래킹한 단지들 중에서 어떤 단지가
보석함에 들어가게 될지 기대되는 한달이네요.
한번에 그치지 않고 매달 앞마당을 숙성시키며
언제든 투자할 수 있는 단지들을 손에 쥐고있는
투자가 되길 희망해봅니다!
긴 시간동안 강의해주신 프메퍼 튜터님과
각자의 임장지에서 열심히인 월부인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